2025.04.26 (토)

  • 맑음동두천 20.2℃
  • 맑음강릉 24.6℃
  • 맑음서울 18.0℃
  • 맑음대전 21.2℃
  • 맑음대구 24.9℃
  • 맑음울산 21.1℃
  • 맑음광주 21.7℃
  • 맑음부산 18.9℃
  • 맑음고창 21.1℃
  • 맑음제주 19.6℃
  • 맑음강화 14.4℃
  • 맑음보은 22.0℃
  • 맑음금산 21.1℃
  • 맑음강진군 22.0℃
  • 맑음경주시 25.0℃
  • 맑음거제 16.5℃
기상청 제공

경제

전 세계 식탁에 오른 하이난 생선

 

 

하이커우, 중국 2025년 4월 24일 /

 

최근 하이난에서 열린 제5회 중국 국제 소비재 박람회(China International Consumer Products Expo)에서 하이난 하이켄 해양산업그룹(Hainan Haiken Marine Industry Group Co.)의 마케팅 담당자 왕강정(Wang Kangzheng)은 고급 해산물 홍보로 분주했다. 심해 양식장에서 자란 골든폼파노는 행사에서 가장 인기 있는 수산물로 많은 바이어와 방문객이 시식하고 문의하며 주문 행렬을 이뤘다.

 

왕강정 담당자는 "이 골든폼파노는 하이난 창장 심해에서 양식된 것으로, 잔가시가 없고 육질이 부드러우며, 불포화 지방산과 각종 미량 원소가 풍부하다"고 말했다.

 

중국 최남단 열대섬인 하이난은 넓은 해역과 깨끗한 수질, 어업에 적합한 기후 조건을 갖추고 있다.

 

최근 몇 년 간 하이난은 심해 및 원해 양식에 박차를 가하며 연안, 심해, 레저 어업을 3대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다. 2024년 말 기준 심해 및 원해 양식장 규모는 850만 세제곱미터를 넘어섰고, 수산물 총생산량은 181만 4000톤에 달했으며, 이 중 절반 이상이 국내외 시장에 공급됐다.

 

우즈둬(Wu Zhiduo) 하이난 하이켄 해양산업그룹 회장은 "이번 어획기에 우리 심해 양식장에서 생산된 최소 15만kg에 달하는 골든폼파노가 유럽, 미국, 동남아시아 등지로 수출됐다"며 세계 곳곳에 공급하게 된 데 대한 기쁨을 전했다.

 

하이켄은 최근 산야만 심해·원해 양식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 골든폼파노와 그루퍼 등 하이난 특색을 지닌 고부가가치 심해 어종 양식을 통한 현대식 해양 목장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21세기 대표 생선'으로 주목 받는 틸라피아는 약 30년 전 20세기에 하이난에 처음 유입된 이후 주력 수산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 하이난 농업농촌부(Hainan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Rural Affairs)에 따르면 중국이 수출하는 틸라피아의 약 30%가 하이난에서 공급되며, 유럽과 미국 시장에 유통되는 틸라피아 대부분은 중국산이다.

 

40년 간 일본에 방어 치어를 수출해 온 하이난은 전 세계 방어 공급의 핵심 기지 역할도 하고 있다. 완닝 해양어업협회(Wanning Marine Fishery Association)에 따르면 하이난은 매년 약 1500만 마리의 자연산 방어 치어를 포획하며, 이는 중국 전체 수출량의 약 70%를 차지한다. 이달 초 방어 치어 17만 마리를 실은 일본 선박이 출항하면서 올해 첫 치어 수출이 이뤄졌다.

 

하이난 농업농촌부에 따르면 하이난은 첨단 데이터 관리 및 정밀 급이 시스템을 도입해 스마트 심해 양식을 장려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문가는 실시간 수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다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다. 설정된 시간과 양에 맞춰 공급되는 사료는 낭비를 줄이는 동시에 양식 효율과 품질을 높인다.

 

오늘날 하이난의 골든폼파노, 그루퍼, 틸라피아, 참치 등 다양한 수산물은 우수한 기후 조건과 정교한 과학 양식 기술을 바탕으로 점점 더 많은 국가와 지역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실제로 하이난의 수산물 수출은 자유무역항의 기업 친화 정책, 고품질 농수산물 수출 확대를 위한 정책 추진, 하이난 신선 식품 이니셔티브 덕분에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하이커우 세관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2월 하이난의 수산물 수출은 미국 39.6%, 네덜란드 33.8%, 캐나다 109.9%, 영국 75.7%, 프랑스 75.3%, 이스라엘 52.2% 증가하며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