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구(구청장 박준희)가 증가하는 1인 가구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고, 안정적인 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제2기 1인 가구 기본 계획(2025∼2029)'을 수립했다. 구는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62.6%를 차지하고, 서울시 자치구 중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다. 이번 계획은 이러한 구의 특성을 반영해 실질적인 정책 지원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구가 실시한 '2022∼2024년 정기 여론 조사'에 따르면, 1인 가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정책으로 3년 연속 주거 복지와 일자리 제공이 꼽혔다. 구는 이러한 요구를 반영해 수요에 맞는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세심한 정책을 마련했다. 이번 기본 계획은 "1인도 소외되지 않는 행복한 포용 도시 관악"을 비전으로 8대 추진 전략과 18개 실천 과제, 10대 중점 사업을 포함한 총 48개 세부 사업으로 구성되었다. 8대 추진 전략은 ▲튼튼한 기반 ▲포근한 주거 ▲희망찬 일자리 ▲든든한 안전 ▲세심한 돌봄 ▲활기찬 건강 ▲다정한 관계 ▲발전된 생태계 등이다. 이번 계획에는 구뿐 아니라 동 주민센터, 민간 기관과 협치를 강화했다. 먼저 21개 동 주민센터에서 동 특성을 반영한 1동 1인가구 1사업을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관내 중소·중견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25년 청년 고용 우수 기업 근로 환경 개선 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3월 13일부터 4월 11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청년과 중소기업 간 일자리 부정합(미스-매칭)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 내 시설 노후화와 열악한 근무 환경 등은 청년이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주요 요인이다. 인천시는 청년이 쾌적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청년 신규 채용 실적이 있는 중소·중견 제조업체에 근로 환경 개선비를 지원한다. 참여를 원하는 기업은 3월 13일부터 인천 비즈오케이를 통해 공고를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다. 올해는 약 30개 기업에 근로 환경 개선비를 지원할 계획이며, 예산 소진 시까지 신청이 가능하다. 지원 대상은 상시 근로자 5명 이상의 인천지역 중소·중견 제조업체로, 최근 1년 이내에 중소기업은 2명 이상, 중견기업은 8명 이상 청년을 채용한 이력이 있어야 한다. 선정된 기업은 청년 신규 채용 인원수에 따라 최대 2,800만 원까지 화장실, 휴게실, 샤워실 등의 시설 개보수 비용과 냉난방기, 세탁기 등의 환경 개선 물품 구매 비용을 받을 수 있다. 이규석 시 청년정책 담당관은 "인천 청년
화웨이(Huawei)가 올해 MWC에서 열린 디지털 교육 확대를 위한 ICT 인재 양성(Cultivating ICT Talent to Amplify Digital Education) 포럼에서 디지털 교육 2.0 솔루션을 출시했다. 이 솔루션의 목표는 대학이 더 나은 ICT 인재를 양성하고 전 세계의 인재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리쥔펑(Li Junfeng) 화웨이 부사장 겸 글로벌 공공부문 BU 최고경영자(CEO)는 "지능형 기술은 디지털 생산성의 발전을 가속하고 있으며, 지능형 경제는 현재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라몬 이리아르테(Ramon Iriarte) 유네스코 선임 교육 전문가와 솔레다드 파티뇨(Soledad Pati?o) 유네스코 글로벌 스킬 아카데미(UNESCO Global Skills Academy) 코디네이터는 화웨이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ICT 아카데미가 매년 30만 명의 학생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프랭크 황(Frank Huang) 화웨이 글로벌 공공 부문 BU의 교육 산업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디지털 트레이닝 2.0 솔루션을 소개했다. 이 솔루션은 전 세계적으로 AI, 클
추웠던 날씨가 조금씩 풀려가면서 벚꽃을 포함한 봄꽃 개화시기에 맞춰 여행을 가려는 상춘객들의 즐거움도 늘어나고 있다. 올해 봄꽃을 쫓아 여행을 떠나는 한국 여행객들은 어떤 지역을 가장 주목했을까? 글로벌 원스톱 여행 플랫폼 트립닷컴은 봄꽃 개화 기간(3월 25일부터 4월 30일까지), 국내 여행객들의 여행 추이를 공개했다. 이 기간 중 국내 여행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국내 여행지는 단연 제주도였다. 지난해 서귀포시와 제주시가 나란히 1, 2위를 차지한데 이어 올해는 제주시와 서귀포시가 순위를 바꿔 1, 2위에 올랐다. 제주시의 신산공원과 서귀포시의 서광리 벚꽃길 등이 SNS를 통해 입소문을 타며 봄꽃 명소로 급부상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봄의 제주도는 화사한 꽃잎으로 뒤덮인 '꽃의 섬'으로 변모한다. 특히 올해는 벚꽃을 비롯해 유채꽃, 산수유, 진달래 등이 계절별로 피어나며 장기간 봄꽃 관광 수요를 흡수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서울(3위)과 부산(4위)이 뒤를 이었다. 서울은 봄이면 도심 곳곳에서 벚꽃을 만날 수 있는 도시로 유명하다. 특히 여의도 벚꽃길은 서울에서 가장 대표적인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여의도 한강공원을 따라 약 1.5km에 걸쳐 벚나무가 늘어서
바르셀로나 2025에서 화웨이(Huawei)가 우한시 운영 및 관리 센터(Wuhan City Operation & Management Center, 이하 "우한시 운영센터") 및 파트너사와 함께 우한시의 종합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한 글로벌 시범 사이트를 개설했다. 기념행사에는 젱펑(Geng Feng) 우한시 운영센터 부국장, 동보타오(Dong Botao) 우한정보센터 정부 네트워크 부서장, 종수청(Zhong Shoucheng) 우한 클라우드 컴퓨팅 테크놀로지(Wuhan Cloud Computing Technology) 회장, 쉬페이(Xu Fei) 화웨이 공공 서비스 디지털화 사업부(이하 GPSD) 해외시장 담당 이사, 장후린(Jiang Hulin) 화웨이 GPSD 최고 마케팅 책임자, 야오촨레이(Yao Chuanlei) 화웨이 우한 사업부 총괄, 바이루빙(Bai Rubing) 레이체인지(Raychange) 해외 마케팅 이사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협업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도시 거버넌스(city governance)의 디지털 전환 경험을 탐구하고 기술 표준과 거버넌스 관행의 글로벌 공유를 촉진하며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에 기여할 예정이다. 바이루빙 레
화웨이(Huawei)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인 MWC 2025에서 '화웨이 ICT 지속 가능성 원탁회의(Huawei ICT Sustainability Roundtable)'를 개최했다. 화웨이는 이 회의에 모인 정책 입안자들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 이해관계자들에게 지난 몇 년 동안 인공지능(AI)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새로운 디지털 격차가 생기지 않도록 개방형 혁신과 협력을 확대해줄 것을 촉구했다. 개회사에서 켄후(Ken Hu) 화웨이 순환 회장은 화웨이 TECH4ALL 프로그램의 사례를 인용하면서 디지털 기술과 파트너십이 사람과 지구를 위한 지속 가능한 변화를 추진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후 회장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세계에서 아무도 소외되지 않도록 정부와 ICT 업계가 협력 플랫폼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후 회장은 "AI가 세상을 더욱 지능적으로 만들면서 새로운 디지털 격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우리는 이 점에 주의를 기울이고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함께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그러려면 정책 입안자들이 보다 포용적인 제도적 틀을 구축하고, 더 많은 기술 기업이 개방형 혁
-- 5G-산업의 새 트렌드를 선도하는 신개념 수익화 글로벌 통합 정보 통신 기술 솔루션 선도 기업 ZTE 코퍼레이션(ZTE Corporation)(0763.HK / 000063.SZ)이 MWC 바르셀로나 2025 기간 열린 글로모 어워드 2025(GLOMO Awards 2025)에서 Minimalist Private 5G-A 솔루션으로 "GSMA 파운드리 혁신상(GSMA Foundry Innovation Award)"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ZTE의 Minimalist Private 5G-A 솔루션이 업계에서 인정을 받았으며 ZTE가 파트너 기업들과 함께 프리로밍 VR 대공간 극장과 게임, 또 뉴미디어 및 TV용 무선 4K의 제작과 방송을 포함해 혁신적 애플리케이션으로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부문에서 디지털 혁신에 기여했음이 확인되었다는 데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LBE VR 및 방송용 Minimalist Private 5G-A 솔루션은 위치 기반 VR 엔터테인먼트 업계와 방송사를 도와 무선 전환과 사업 업그레이드의 효율을 높여 주는 제품이다. 이 제품의 최대 장점은 이동성과 용량, 지속 가능성, 데이터 보안은 유지한 채 사업은 업그레이드해 주고 훌륭한
화웨이(Huawei)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인 MWC 2025가 열리는 동안 '디지털 지능이 포용적 의료를 주도한다(Digital Intelligence Drives Inclusive Healthcare)'는 주제로 글로벌 의료 산업 세션을 개최했다. 세션에 모인 전문가들은 디지털 전환과 AI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관한 최신 전략과 사례를 공유했다. 지능형 의료 솔루션 강화를 위한 심층적인 AI 융합 화웨이 부사장 겸 데이터 스토리지 제품 라인 부문 사장인 피터 저우(Peter Zhou) 박사는 개회사에서 화웨이는 '항상 켜져 있는 데이터와 가치 방출(always-on data and value release)'이라는 전략을 바탕으로 멀티모달 융합 데이터 레이크(data lake)와 DCS AI와 같은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해 의료 AI 역량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렸다고 강조했다. 윈드리(Wind Li) 화웨이 부사장 겸 글로벌 공공 부문 사업부 CEO는 화웨이가 110여 개국에서 5600곳 이상의 의료 시설을 지원해 왔으며, 앞으로도 글로벌 의료 지원에 기여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디지털 및 지능화된 전환의 기반을 강화하고 시나리
2월 28일부터 17세 이상 인천 시민이면 누구나 본인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신청하고 발급 받을 수 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본인 스마트폰에 주민등록증을 암호화해 설치하는 것으로, 기존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진다. 행정 기관을 비롯해 금융기관, 병원, 공항 등 실물 주민등록증 제시가 필요한 모든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윤환 구청장도 인천시 발급 개시 첫날인 28일 계산4동 행정복지센터를 찾았다. 이날 윤환 구청장을 포함해 계양구 내 주소지를 둔 간부 공무원은 직접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신청하며 발급 운영 상황을 점검했다.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한 주민에게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직접 알리며 제도를 홍보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17세 이상의 주민등록증 소지자면 누구나 두 가지 방식으로 발급 받을 수 있다. 먼저,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용 큐알(QR)코드를 촬영 후 발급 받는 방식은 비용 없이 즉시 발급이 가능하다. 발급을 원하는 주민은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을 본인 명의 휴대전화에 미리 설치한 후 실물 주민등록증을 지참해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신청하면 된다. 또한, 실물 주민등록증
하남시(시장 이현재)가 2025년부터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치매 감별 검사 비용을 지원하고, 치매 치료 관리비 지원 대상도 중위 소득 120% 이하에서 140% 이하로 확대한다. 이는 비용 부담으로 검진을 미루거나 받지 못하는 경우를 줄이고, 치매 환자의 경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다. 하남시 치매안심센터에서는 선별 검사와 진단 검사를 무료로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치매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전문 의료 기관에서 시행하는 감별 검사의 경우 비용이 발생한다. 기존에는 기준 중위 소득 120% 이하 가구만 일부 비용을 지원 받았으나, 이보다 소득이 높은 경우 지원이 불가능했다. 이번 조치로 감별 검사가 필요한 시민은 치매안심센터를 통해 협력 병원에서 뇌 영상 촬영과 혈액 검사 등을 받을 수 있으며, 검사비를 최대 8만원까지 지원한다. 국가 유공자와 장애인 의료 지원 대상자는 중복 지원으로 제외된다. 치매 치료 관리비 지원도 확대된다. 치매 진단을 받은 후 중위소득 140% 이하 기준을 충족하면 월 최대 3만원까지 진료비와 약제비를 받을 수 있다. 박강용 하남시보건소장은 "2025년부터 경기도 치매 케어 패키지의 일환으로 치매 감별 검사비와 치료비 지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