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저우, 중국 2025년 11월 7일 / 중국 수출입박람회라고도 불리는 제138회 캔톤 페어(Canton Fair)가 11월 4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관람한 해외 바이어 수와 혁신적이고 스마트한 친환경적 제품을 비롯해 여러 지표에서 신기록이 쏟아졌다. 223개 국가와 지역에서 이전 박람회 대비 7.5% 증가한 31만 명 이상의 해외 바이어가 이번 박람회를 방문하면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 중 일대일로(BRI) 프로젝트 참여 국가의 바이어는 이전 박람회 대비 9.4% 증가한 21만 4000명이었다. 이번 박람회 현장에서 성사된 예상 수출액 역시 예년의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256억 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박람회 출품 기업은 캔톤 페어가 기회와 우수한 잠재 고객으로 가득 찬 최고의 행사이며, 오랜 협력 관계를 공고히 하고, 새로운 협력 관계를 구축하며, 새로운 시장으로 진출하는 데 이상적인 무대라고 평가했다. 많은 바이어는 공장을 방문했거나 방문할 예정이며, 더 많은 거래가 성사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람회 출품 기업들은 재료, 제조 기술, 그리고 공급망 전반에서 혁신, 지능화, 환경 보호를 추구했다. 신제품, 친환경 제품, 그리고
칭다오, 중국 2025년 11월 7일 / 소비자 전자제품 및 가전제품 분야의 세계 선두 브랜드인 하이센스(Hisense)가 오늘 2024년 ESG 보고서에 명시된 전략적 업그레이드 계획을 이행하면서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경영 활동에 의미심장한 성과를 거뒀다고 발표했다. 하이센스는 'AI를 활용한 기술'을 중심으로 두 가지('지능화'와 '환경친화적 성장') 병행 방식을 동원하여 제조, 사회적 영향, 관리 체계 전반에서 책임감 있는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가장 최근에는 하이센스 히타치 황다오 공장이 세계경제포럼(WEF)으로부터 VRF 부문에서 세계 최초로 지속가능성 등대(Sustainability Lighthouse)이자 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충족한 유일한 등대 공장(Lighthouse Factory)으로 인정받았다. 요컨대, AI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친환경 제조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기념비적인 성과를 거둔 것이다. 하이센스는 ESG를 자사의 6대 핵심 전략으로 격상하고, 세계 정상급 기업이자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거시적 전략과 연계하여 성장을 도모했다. 하이센스는 2026년까지 탄소 배출량 감소세로
베이징 2025년 11월 6일 / 2025 양쯔강 문화 예술 시즌이 10월 30일 저녁 중국 중부 후베이성 이창시에서 막을 내렸다. 전국 영화 전문가와 문화 학자, 그 외 여러 분야 대표자들이 폐막의 순간을 함께 했다. 양쯔강 문화예술 시즌은 후베이성 인민정부, 수자원부 창장수자원위원회, 중국삼협공사에서 공동 주관했다. 9월 12일 '양쯔강을 밝히다'(Lighting up the Yangtze River)라는 제목으로 개막식이 열린 이후 10월 30일까지 '양쯔강의 이미지'(Images of the Yangtze River) 영화 주간과 '양쯔강의 소리와 광경'(Sounds and Sights of the Yangtze River) 온라인 소통 주간 등 주요 행사 12건이 진행되었다. 이창 올림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에서 열린 폐막식에는 축제 기간 선보였던 미술, 사진, 음악, 연극, 문학 분야 성과가 함께 했다. 이창은 최근 몇 년 사이 중국 삼협 국제 관광 축제와 글로벌 여행사 회의와 같은 행사를 연이어 개최하며 취원(Qu Yuan) 문화와 무형 문화 유산 프로젝트의 국제적 저변을 넓히는 데 기여하였다. 지난 5년 간 전 세계 100여개 국가와 지역 대표
홍콩 2025년 11월 6일 / 2025 아시아•태평양 30세 미만 우수 청년 리더 명단이 APEC 정상회의 기간 아시아•태평양 기업가협회를 통해 공개됐다. 명단에는 비즈니스, 기술, 스포츠, 학계,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이룬 21개 국가와 지역 30세 미만 인재 143명이 포함됐다. 비엘 크리스탈(Biel Crystal)의 사이먼 영(Simon Yeung) 전무이사 겸 부사장도 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30세 미만 제조업 분야의 주목받는 리더인 사이먼 영 전무이사는 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기술 혁신을 이끈 성과를 통해 신세대 청년 엘리트들이 지닌 탁월한 리더십과 혁신 정신을 보여주고 있다. 사이먼 영 전무이사는 비엘 크리스탈에 합류한 이후 회사의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며 생산 방식을 '경험 중심'에서 '데이터 중심'으로 바꿨다. 또한 '위치 클록 초경도 코팅(Witch Cloak Ultra-Hard Coating)' 기술 브랜드를 설립해 회사를 '메이드 인 차이나(Made in China)'에서 '차이니즈 브랜드(Chinese Brand)'로 발전시키며 질적 성장을 이끌었다. 비엘 크리스탈은 스마트 기기용 외부 구조 및 모듈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우한, 중국 2025년 11월 6일 / 10월 29일부터 30일까지 열린 '올 에너지 오스트레일리아 2025(All Energy Australia 2025)'에서 이브 에너지(EVE Energy)가 호주 에너지 기업 에보 파워(EVO Power)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이브 에너지는 향후 5년간 자사의 대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인 Mr.Big과 Mr.Giant를 총 2.2GWh 규모로 공급해 호주 내 FTM(Front-of-Meter) 에너지 저장 솔루션의 대규모 구축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협력은 이브 에너지의 대용량 배터리 기술이 글로벌 상용화 궤도에 오르는 또 하나의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이번 파트너십은 호주 시장에서 Mr.Big과 Mr.Giant 시스템의 적용 확대를 목표로 하며, 이브 에너지가 대형 배터리 혁신 분야에서 선도적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기술 리더십: 이브 에너지는 핵심 대형 배터리 기술을 선도하며, 628Ah 용량의 Mr.Big 에너지 저장 셀을 세계 최초로 출시해 양산에 성공했다. Mr.Big 배터리를 통합해 효율적으로 설계된 5MWh DC 컨테이너 솔루션 Mr.Giant 시스템은 지난 9
푸소 알레그레, 브라질 2025년 11월 5일 / 양동쉥(Yang Dongsheng) XCMG 기계 회장이 대통령궁에서 부통령과 비서실장이 배석한 가운데 룰라 브라질 대통령을 만났다. 룰라 대통령은 산업 개량, 에너지 효율, 디지털 전환, 안정적인 은행 업무 등 10년 넘게 지속된 XCMG의 기여를 치하하고 예정된 연구 기관에 지지를 표했다. 양 회장은 무역과 그린필드 플랜트에서 "지능형 혁명, 디지털 혁신, 글로벌 연결"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서 고급, 친환경, 현지화, 인재 중심 성장에 주력하고 있음을 재차 확인하였다. 두 사람은 R&D, 금융, 인재 양성, 친환경 채굴 분야에서 협력을 모색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양 회장은 브라질리아에서 중국 대사를 만나 지난 20년 브라질에서 거둔 투자 성과를 검토하고 앞으로 지능형, 친환경, 디지털 전환으로 나아간다는 계획을 밝혔다. 중국 대사는 중국과 브라질 간에 경제 문화 관계 돈독해지는 데 XCMG가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하며 중국 기업이 산업망과 공급망, 밸류체인 전반에서 협력을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양 회장은 이번 방문 기간에 13년 만에 처음 생긴 중국 해외 제조 은행이자 세계화
서울, 대한민국 2025년 11월 5일 / 중국석유화공이 LG화학과 나트륨 이온 배터리 핵심 소재 공동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오늘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에 따라 중국과 글로벌 시장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저속 전기 자동차에 적용할 수 있는 나트륨 이온 배터리용 양극 및 음극 소재를 함께 개발한다. 이번 파트너십은 나트륨 이온 배터리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기고 새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는 한편, 향후 다양한 신 에너지 및 고부가가치 소재 분야로 협력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나트륨 이온 배터리는 자원 접근성과 경제성이 리튬 이온 배터리보다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안전하고 충전도 빠르다. 또 저온에서도 용량 손실이 크지 않아 리튬 인산철 배터리보다 성능이 좋고 상품성도 대단히 우수하다. 업계 조사에 따르면 중국의 나트륨 이온 배터리 시장은 2025년 10GWh에서 2034년 292GWh로 연평균 약 45%씩 성장할 전망이다. 2030년까지 전 세계 나트륨 이온 배터리 생산량의 90% 이상을 중국이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체결식에는 시노펙 허우치쥔(Hou Qijun) 회장과 시노펙 완타오(Wan Tao) 부사장, LG화학 신학철 사장 등이 참석했
광저우, 중국 2025년 11월 5일 / 중국 동방항공(China Eastern Airlines)의 C919 여객기가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Beijing Daxing International Airport)행 MU6308편으로 순조롭게 이륙하면서,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 제3터미널(T3)이 지난 10월 30일 공식적으로 운영을 개시했다. 이번 T3 개장으로 바이윈 공항은 '활주로 5개, 터미널 3개' 시대로 진입하는 중요한 이정표를 달성했으며, 이를 통해 세계적 수준의 공항 클러스터 조성과 더불어 광저우가 복합형 다중운송 국제항공 허브이자 관문으로 도약하는 핵심 동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T3 개장 당일 오후, 바이윈 공항에서는 따뜻한 축제 분위기 속에서 취항 기념행사가 열렸다. T3에서 출발하는 첫 항공편 MU6308의 '행운의 탑승객' 전원은 바이윈 공항과 중국 동방항공이 공동으로 준비한 기념 선물을 받았다. 첫 비행에 탑승한 리(Ms. Li) 씨는 설렘을 감추지 못하며,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지능적인 시설이다. 체크인 및 수하물 위탁 절차가 원활했으며 터미널 디자인도 아름답다. 이번 여행은 정말 기억에 남을 것 같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특히
지난, 중국 11월 5일 / 10월 29일 산둥성에서 열린 '기회의 나라 중국, 매력 넘치는 지난'(Opportunity China, Charm Jinan) 외신 기자단 투어에서는 스타트업 지구(Jinan Startup Area)를 소개하는 행사가 진행됐다. 큰 기대를 모았던 이번 '미래의 도시'(City of the Future) 프로그램에서는 참가자들이 중국-싱가포르 협력에서 실현된 혁신적 개념과 발전의 활력을 직접 체험했다. 기자단은 췌화(鵲華) 중국-싱가포르 공원(Quehua Sino-Singapore Park)에서 싱가포르 케펠(Keppel) 팀이 운영하고 중국 엔지니어링 측량과 설계의 대가 허 팡(He Feng)이 설계를 맡은 온실 정원 탐험 체험관을 방문했다. 이 생태 공간은 27만 6백 제곱미터 규모로 싱가포르 가든스 바이 더 베이(Gardens by the Bay)와 창이(Changi) 공항의 디자인 콘셉트에서 영감을 받아 난양(동남아시아)의 녹지와 예술적 기암괴석, 우아한 아치형 다리를 절묘하게 조합해 "이채로운 여름 속으로"(Stepping into Summer, Full of Novelty")라는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홀 안에는 '
상하이 2025년 11월 2일 /P 상해전기가 최근 세계 최대 토로이달 필드 코일 케이스(Toroidal field coil case)를 인도하고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자석 저온 시험용 극저온 장치 장비를 프랑스 현장에 성공리에 납품하는 등 제어 핵융합 분야에서 눈에 띄는 성취를 이루었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는 글로벌 융합 에너지 협력의 발전에서 중국 기업의 기술력을 돋보이게 하고 전 세계의 청정에너지 전환에 모멘텀을 더하는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우레이(Wu Lei) 상해전기 그룹 회장은 "상해전기는 중국 하이엔드 장비 제조의 선두 주자로 기술 혁신과 국제 협력을 통해 핵융합 에너지 발전에 전념하고 있다. 앞으로 제조와 엔지니어링 통합의 고도화라는 강점을 토대로 ITER과 같은 대규모 글로벌 과학 프로젝트를 든든하게 지원해 인류가 청정에너지라는 원대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기술 인도는 핵심 핵융합 부품 제조에서 중국이 획기적으로 발전했다는 의미일 뿐만 아니라 글로벌 핵융합 연구 공급망에서 중국의 역할이 더욱 공고해졌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지난 10월, 상하이전기 원자력그룹(Shanghai Electr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