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안, 중국 2024년 12월 9일 / 중국 시안시 북서쪽에 자리한 리산(Lishan Mountain) 기슭에 설치된 무대에서 얼음과 눈이 불꽃과 어우러지고 빛과 그림자가 음악과 뒤섞인다. 12월 1일 화청궁(Huaqing Palace) 명승지에서 제작한 얼음과 불이 곁들여진 대규모 라이브 사극 '영원한 슬픔의 노래(The Song of Everlasting Sorrow)'가 사적지인 리산의 산과 물을 배경으로 공연을 시작했다. 2021년에 첫선을 보인 이 얼음과 불의 '영원한 슬픔의 노래'는 기존 공연을 업그레이드한 공연이다. 혁신적인 무대 설계, 안무, 첨단 기술을 적용하여 무대 예술 배경을 새롭게 해석했다. 공연은 계절적으로 겨울 관광에 불리한 시안을 독특한 체험형 명소로 탈바꿈시켜 중국 북부 겨울철 야외 라이브 공연 발전에 중대한 획을 그었다. 당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의 서사시를 소재로 한 이 무용극은 당나라 제6대 황제인 당 현종(618~907)이 그의 후궁 양귀비와 나눈 사랑 이야기를 중심으로 시의 감동적인 장면을 재현했다. 당나라는 중국 역사상 가장 번영한 시대로 실크로드를 통해 아시아와 유럽 전역에 중대한 문화적 영향을 미쳤다. 70분 분량의 이 무용극은 역사적 서사, 무대 공연, 시청각 효과를 독창적으로 결합해 당나라의 화려한 분위기를 관객에게 전달한다. 무용극은 2006년 초연 이후 지금까지 5300회 이상 공연되면서 약 1000만 명의 관람객을 끌어 모았다. 심도 있는 탐구와 형식의 혁신을 통해 시대에 맞춰 끊임없이 변신하고 있다. 올해는 중앙 아시아 배우를 초청하여 당나라 사회의 개방성, 포용성, 다문화주의 정신이 깃든 공연을 만들고, 공연의 예술적 표현과 국제적 영향력을 강화했다. 당나라 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상징적 관광지인 화청궁 명승지는 최근 몇 년 동안 문화와 관광을 통합하고 많은 뛰어난 작품을 개발하여 산시성의 대표적인 관광 프로젝트로 자리 잡았다. 가오지에(Gao Jie) 산시 화청궁 문화관광 유한회사(Shaanxi Huaqing Palace Cultural Tourism Co., Ltd.) 회장은 "당나라 문화의 심오한 예술적 매력을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문화와 관광을 깊이 통합하여 공연 예술로 글로벌 문화 소통을 촉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콩 2024년 12월 9일 / 정부가 메가 이벤트로 선정한 2025 홍콩 국제여행 전시회(ITE)가 6월 12일부터 15일까지 홍콩 전시컨벤션센터의 5개 홀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회는 제39회 ITE(레저 여행)와 제20회 ITE MICE를 동시에 개최하며, 현지와 지역 여행업계 관계자와 프리미엄 FIT(자유 여행객)를 대상으로 이틀 동안 열린다. 국제 관광 지출 기준으로 홍콩은 2019년 아시아에서 4번째로 큰 시장이었다. 2023년 아웃바운드는 지출 기준 84%(미화 227억 달러), 출국 기준 77%(7220만 명)로 회복하여 출국보다 지출이 더 회복되는 등 질적 회복을 보였다. 아웃바운드 패키지여행의 회복 속도는 시장 전체보다 현저히 느려, 2024년 3월 20일 업계 소식통을 인용한 오리엔탈 데일리 보도에 따르면 팬데믹 이전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2024년 ITE는 코로나19 이후 4번째 오프라인 행사를 개최하며 2019년과 동일한 5개 홀을 사용했다. 여전히 높은 수준의 국제적인 전시 업체가 참가했고, 홍콩 이외 지역에서 온 무역 바이어가 46%를 차지하며 더욱 성장했다. 일반 관람객은 주로 프리미엄 FIT였으며, 설문 조사 결과 59%가 2024년 여행 예산을 늘릴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는 ITE가 성공적으로 회복되었음을 보여준다. ITE는 무료 관람을 기본으로 바이어 미팅, 산업 포럼, KOL 네트워킹, 전시회 전후 홍보 지원, 연설 기회 등 다양한 B2B와 B2C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2024년 ITE에는 약 7000명의 관람객이 80여 개 세미나에 참석했다. ITE 2025는 2019년과 동일하게 전시 공간, 부스 임대료를 유지하며, 모든 참가 업체에 10% 조기 결제 할인을 해주는 정부 지원 혜택을 2025년 1월 31일까지 제공한다. TKS 전시 서비스가 주최하는 ITE는 중국 문화관광부(Ministry of Culture & Tourism of P.R.China)의 강력한 지원을 받고 있으며, 홍콩 관광청, 여행업협회 등이 후원한다.
상하이 2024년 12월 8일 / 트랜스포머 팬이 기다린 '2024 트랜스포머 사이버트론 콘(Transformers Cybertron Con)' 행사가 12월 6일 공식 개막했다. 트랜스포머의 공식 파트너인 블로키스(Blookees)는 이번 행사에서 독특한 매력이 물씬 풍기는 다양한 트랜스포머 피규어 시리즈 신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블로키스는 트랜스포머 마니아를 위한 초대형 모임인 사이버트론 콘 2024에서 트랜스포머 피규어 전 시리즈를 공개한다. 참가자는 부스에 들어서는 순간 시장 출시 순서대로 전시된 블로키스의 다양하고 다채로운 피규어에 매료될 것이다. 이번 행사에서는 트랜스포머 X 연간 버전 '2005 The Golden Lagoon Defence와 블로키스 피규어 트랜스포머 이벤트 전용 'Optimus Prime(핑크)'이 처음 공개되어 많은 트랜스포머 팬의 관심을 끌었다. 기존 제품과 신제품이 모두 전시되어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이번 행사는 블로키스 트랜스포머 피규어를 만나고 싶어 하는 팬의 열띤 참여로 성황을 이루었다. 블로키스 피규어 크리에이터 구역에서는 많은 트랜스포머 팬이 모여 열띤 토론을 벌이면서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곳에서는 블로키스 피규모 제품 사용자 커뮤니티인 BFC(Blokees Figures Creator)가 제작한 수많은 맞춤형 트랜스포머 피규어가 전시됐다. 그 중에서 Houqi Miao는 선명한 색상과 독특한 붓 터치로 전설적인 옵티머스 프라임을 완전히 다른 '리더'로 변신시키며 다른 크리에이터가 만든 옵티머스 프라임 코믹 버전과 확실한 대조를 이루었다. 대담하고 상상력 넘치는 페인팅과 변형이 돋보이는 이런 블록 피규어는 트랜스포머 피규어 대한 BFC 열정을 잘 보여준다. BFC는 무한한 상상력으로 특별한 트랜스포머 비전을 창조해냈다. 블로키스는 2023년 초 트랜스포머 지식재산권(IP) 라이선스를 공식 취득했다. 이후 출시한 트랜스포머 피규어는 큰 인기를 끌었고 신제품 출시 요청이 끊이지 않았다. 블로키스는 현재까지 갤럭시 버전(Galaxy Version), 샤이닝 버전(Shining Version), 클래식 클래스(Classic Class), 액션 에디션(Action Edition), 디펜더 버전(Defender Version) 등 여러 시리즈를 출시했다. 각 시리즈에는 다양한 신제품을 포함한다. 블로키스는 앞으로도 사용자 요구와 연구개발(R&D) 혁신을 바탕으로 트랜스포머 IP와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여 높은 복원 수준과 풍부한 게임 플레이를 갖춘 더 많은 트랜스포머 피규어를 출시하고 전 세계 사용자에게 조립의 재미를 선사할 계획이다.
상하이 2024년 12월 8일 / 중국 완구 제조사 블로키스(Blookes)가 12월 7일부터 8일까지 열린 2024 싱가포르 코믹콘(Singapore Comic Con·SGCC)에서 새로운 세서미 스트리트(Sesame Street) 컬렉션을 전 세계 최초로 공개하며 인상적인 피규어를 선보였다. 블로키스는 이번 SGCC에서 마블의 인피니티 사가(Infinity Saga), 마블 스파이디 그리고 놀라운 친구들(Spidey and His Amazing Friends), 트랜스포머(TRANSFORMERS), 하츠네 미쿠(Hatsune Miku), 세인트 세이야(Saint Seiya), 울트라맨(Ultraman), 나루토(Naruto), 히어로 인피니티(Hero Infinity), 매직 블록(Magic Blocks), 옐로리(Yeloli) 등 세계적으로 인정 받는 다양한 IP를 전시했다. 블로키스는 글로벌 BFC(Blokees Figures Creator) 작품 시리즈 전시를 통해 방문객이 독특한 창의적 통찰력을 느끼며 더욱 풍성한 경험을 맛볼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번 행사 하이라이트인 SGCC의 블로키스 부스는 세심하게 제작된 피규어 세계로 팬을 초대하는 혁신적인 디자인이 특징을 이루었다. 방문객은 세서미 스트리트, 마블 인피니티 사가, 울트라맨 등 다양한 클래식 IP와 관련된 장면과 요소를 체험하며 다양한 문화권의 우주로 마법 같은 여정을 떠났다. 부스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세서미 스트리트 55주년을 기념하는 블로키스 피규어 '새서미 스트리트 프리쿨(Sesame Street preCOOL)' 컬렉션 데뷔작이다. 블로키스는 상징적인 캐릭터인 엘모(Elmo), 쿠키 몬스터(Cookie Monster), 빅버드(Big Bird), 애비(Abby) 신제품 4종을 출시했다. 40개 국가와 지역의 세서미 스트리트 IP와의 협업 덕분에 전 세계 소비자는 곧 이 독특한 피규어를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하이라이트는 부스 우측에 마련된 BFC 작품 전시 공간이다. 블로키스는 올해 SGCC에서 국내 BFC 작품뿐 아니라 해외 BFC 작품도 처음으로 전시했다. 이 중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웡씨(@izakku_ben)는 세련된 페인팅 기법과 캐릭터에 생동감을 불어넣은 풍화 효과로 클래식 클래스 라인에 속하는 블로키스의 트랜스포머 옵티머스 프라임을 재현했다. 중국 본토에서 온 선씨(@Liang Gong)는 해외에서 모인 유비, 관우, 장비 삼 형제와 함께 블로키스의 히어로 인피니티 시리즈 제품을 재창조했다. 블로키스의 작은 피규어는 SGCC 플랫폼을 통해 중국 전통 문화를 해외에 전하고 홍보하며 글로벌 무대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블로키스는 앞으로도 제품 혁신에 전념하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IP와 협업을 확대하며, 조립의 즐거움을 전 세계에 전달할 예정이다.
인천시 남동구가 6일, 한국시니어클럽 협회에서 주관한 2024년 전국 노인 일자리 대회에서 우수 지자체로 선정되었다. 한국시니어클럽 협회는 전국 201개 시니어 클럽이 가입된 단체로 어르신 일자리 사업 발전을 위해 헌신한 지자체와 유공자를 발굴하고 격려하고자 매년 전국 노인 일자리 대회를 열고 있다. 남동구는 이날 노인 일자리 분야에 헌신한 공로를 인정 받아 전국 8개 우수 지자체 중 인천에서 처음으로 수상했다. 앞서 남동구는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하는 전국 시·군·구 지방자치단체 노인 일자리 사업 평가에서도 2년 연속 '대상'을 수상했다. 남동구는 올해 73개 사업에 대해 7,429명의 어르신에게 일자리를 제공해 지난해 대비 1,209명에게 일자리를 더 제공했다. 내년에도 332명의 어르신 일자리를 추가로 늘릴 계획이다. 박종효 구청장은 "전국 노인 일자리 대회에서 남동구가 우수 지자체로 선정된 것에 감사드린다"며 "어르신에게 최고 복지는 일자리라고 생각하고 어르신의 활기차고 건강한 노후 생활을 위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라고 공개했다.
서울시 마포구(구청장 박강수)는 아파트 관리 비리를 예방하고 관리 운영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공동주택 감사 사례 및 질의 회신 사례집'을 배포한다. 이번 사례집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실시한 공동주택 관리 실태 감사 사례와 민원 회신, 법령 질의 사례를 종합하여 반복적으로 발생한 지적 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자료이다. 자료 내용에는 예산·회계, 공사·용역, 입주자대표회의·관리규약·선거관리위원회, 장기수선·시설관리 등 공동주택 관리와 관련된 핵심 분야의 질의 회신과 감사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 마포구는 사례집을 지역 내 의무관리 대상인 102개소 공동주택에 배포해 입주자대표회의, 관리주체, 주택관리업자에게 교육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공동주택 관리의 효율성과 입주자 보호를 강화하고 관리비 집행의 투명성을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례집은 마포구청 누리집 주택상생과 부서 자료실에도 게시해 누구나 쉽게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다. 마포구는 공인회계사, 기술사 등 외부 전문가와 공무원으로 구성된 감사반을 통해 공동주택의 일반 관리, 예산 회계, 공사 용역, 장기 수선(공사) 등 분야를 정기 감사하고 있다. 2024년에는 공동주택 5개 단지를 대상으로 감사 실시 결과 총 91건의 위반 사항을 적발했다. 일반 관리에서 30건, 예산 회계에서 19건의 위반 사항을 적발했다. 입주자가 알아야 할 정보를 공개하지 않은 사례가 다수를 차지했으며, 동별 대표자가 근거 없이 지급한 명절 격려금은 환수했다. 공사 용역 분야에서는 13건, 장기수선 분야에서는 29건의 위반 사항을 발견하여 행정 조치했다. 박강수 마포 구청장은 "이번 사례집이 공동주택 관리의 문제점을 예방하고 투명성을 강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구민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주거 환경 조성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사상구가 '2024년 구·군 어린이 복합 문화 공간 조성·운영 평가'에서 부산시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되는 쾌거를 거뒀다. 사상구(구청장 조병길)는 올해 들락날락 3곳을 신규로 조성하고, 특색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공간 운영에서 좋은 성과를 보였다. 주민 참여형 운영위원회를 통해 지역 사회의 커뮤니티를 활성화한 점 등도 16개 구·군 가운데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지난 해 10월 개소한 덕포1동 '그리며 들락날락'은 부산시 최초 주민 협의체를 구성해 민·관이 협력해 만들고 주민이 직접 운영에도 참여하고 있다. 또한 사상구만의 전통과 아름다운 자연 환경을 미디어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기'를 통해 아이 상상력까지 키우고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도록 특성화 해 큰 주목을 받았다. 아울러 지난 해 4월 개소한 '사상구 육아종합지원 센터'는 디지털 기술과 아날로그 신체 활동을 효과적으로 결합한 프로그램을 운영해 어린이의 신체 운동 능력 발달과 부모, 자녀의 유대감 형성에 기여한 점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사상구는 들락날락 최우수 기관 선정에 따라 부산시에서 1억 원의 특별 조정 교부금을 받는다. 조병길 사상 구청장은 "들락날락이 아이뿐 아니라 지역 주민이 함께 소통하고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자리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며 앞으로도 주민이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사상구 들락날락 운영을 더욱 내실화할 것이다"고 말했다. 현재 사상구는 12월 현재 7개의 들락날락을 운영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사상구 청사, 학장동 행정 복지 센터와 모라동 도시 재생 사업 거점 시설 등에도 들락날락을 조성할 예정이다.
안산시(시장 이민근)는 지난 4일 '2024 대한민국 지방자치혁신 대상' 보건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했다고 6일 밝혔다. '2024 대한민국 지방자치 혁신대상'에는 48개 지자체에서 총 97여 개가 넘는 우수 사례가 접수됐다. 1차 서류 심사와 2차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최종 수상 기관과 대상자를 선정했다. 안산시는 정신 건강 안전 도시 조성을 위한 '안산형 정신 건강 정책'을 높이 평가 받아 수상했다. 안산시는 '마음이 건강한 행복한 도시 안산'을 비전으로 삼고 지난해 정신 건강 안전 민관 합동 TF팀을 구성하고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정신 건강 환경 조성 ▲정신 응급 위기 대응 ▲정신 건강 회복 지원 등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 특히 전국 최초로 정신 건강 환경 조성을 위한 '안산형 시민 안전 모델'을 출범하고, 심리 지원 강화를 위한 민·관 협력 통합 심리 협의체를 운영하고 있다. 이는 민선 8기 공약이기도 하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지난 2022년 최초 구성된 통합 심리 협의체는 재난 등으로 시민의 심리적 문제에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시는 정신 의료 기관에서 진료 받는 시민의 치료비 부담 완화를 위한 치료비 지원 사업과 24시간 정신응급환자 입원 치료를 위한 민간 공공 병상을 확보해 운영하고 있다. 정신 장애인의 온전한 회복과 자립을 돕기 위해 주거 기반 일상 생활 훈련과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관공서 내에 '이음 카페'를 운영하는 등 취업 지원도 돕고 있다. 시민의 정신 건강 인식 개선을 위한 예방 교육과 캠페인도 실시하고 시민의 마음 건강을 세심히 살피려는 노력을 지속한다. 이민근 안산 시장은 "안산시는 민·관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시민의 정신 건강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라며 "이번 수상은 보건소 전 직원이 함께 이루어낸 성과다. 앞으로도 시민이 건강한 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광저우, 중국 2024년 12월 6일 / 광저우에서 열린 제136회 중국 수출입 박람회(China Import and Export Fair)가 미화 249억 5000만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개최됐다. '고품질 발전 지원, 고수준 개방 촉진(Serving high-quality development, promoting high-level opening up)'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박람회는 다양한 혁신 제품을 선보이며 신제품 수와 해외 바이어 참가율을 높이는 등 새로운 기록을 달성했다. 이는 중국의 활발한 무역과 경제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제136회 캔톤페어의 성과는 디지털, 지능형, 친환경 제품 중심의 새로운 고부가가치 생산 체계 구축을 보여주는 결과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전 회기 대비 300% 증가한 약 39만 개의 디지털·스마트 제품이 전시됐으며, 친환경·저탄소 제품 또한 130% 증가했다. 중국 기업이 새로운 제품과 기술을 앞세워 수주에 성공하면서 캔톤 페어에서 나타난 제품 구조의 변화는 중국 수출품의 기술력과 브랜드 가치가 한층 성장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박람회 부위원장 겸 사무국 총괄 책임자이자 중국 대외무역센터장인 추스자(Chu Shijia)는 "캔톤 페어는 중국의 대외 개방을 위한 중요한 통로이자 세계 무역의 핵심 플랫폼이다. 과거에는 농산물과 1차 산업 제품을 주로 전시했지만, 현재는 최첨단 기술을 선보이는 최고의 장이 됐다"고 밝혔다. 브라질 중국상공회의소의 아서 기마라스 총재를 비롯해 해외 바이어는 "캔톤 페어는 중국 첨단 제조업의 최신 성과를 보여주고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찾을 수 있는 최고 자리"라고 호평했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신흥 시장과 '일대일로' 국가를 중심으로 해외 바이어 참여가 비약적으로 증가했으며, 유럽연합 바이어 수도 두 자릿수로 증가했다. 이는 전 세계 기업이 중국 제품과 기업을 신뢰하고 있으며, 중국 경제의 성장 가능성에 기대가 높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중국 대외 무역이 고도화하면서 캔톤 페어는 국제 무역을 활성화하고 상호 발전을 이끄는 글로벌 무대의 역할을 더욱 공고히 할 것이다. 제137회 캔톤 페어는 2025년 4월 15일부터 5월 5일까지 광저우에서 개최된다.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2024년 12월 6일 / 인도네시아 국영 전력회사인 PT PLN(페르세로)이 '커넥스트 파워드 바이 PLN(Context Powered by PLN)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 가능한 에너지 혁신 추진에 함께 나설 아시아 스타트업을 모집한다. 이 프로그램은 순 배출량 제로를 위해 노력하고 아시아·태평양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협업과 성장을 촉진하는 적극적인 플레이어로서 입지를 강화하는 PLN이 보다 적응력 있고 혁신적인 에너지 회사로 변신할 수 있게 지원한다. PLN 대표단은 이러한 노력에 착수하기 위해 2024년 10월 일주일 간 일본을 방문했다. 일본이 2027년까지 100개 유니콘 기업과 10개 스타트업을 세우고 10조 엔의 투자를 유지하여 아시아 최대 스타트업 허브로 발돋움하는 것을 목표로 '스타트업 육성 5개년 계획(Startup Development Five-Year Plan)'을 추진한다는 점을 고려해 방문지로 선정했다. 일본은 또 2000년부터 2023년까지 수소와 연료전지(10.5%), e-모빌리티(21.8%), 태양광 에너지(7.7%), 에너지 저장(22.5%), 탄소 포집(0.8%) 등의 분야에서 10만 8000건이 넘는 특허를 출원하며 에너지 분야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PLN 대표단은 방일 기간에 인도네시아 내 PLN의 청정에너지 전환과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해줄 잠재력을 가진 재생 기술, 수소와 암모니아 발전, 인공지능(AI), 반도체 분야에 종사하는 여러 스타트업 사무실을 견학하고 방문했다. PLN은 또한 선정된 스타트업과 구글 캠퍼스(Google Campus)에서 일대일 미팅을 통해 파일럿 프로젝트와 개념 증명(proof-of-concept) 이니셔티브를 모색했다. 이번 방문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성과로 일본의 개방형 혁신플랫폼인 크루(Creww)와 체결한 업무 협약을 들 수 있다. 이는 '커넥스트 파워드 바이 PLN' 프로그램에 따라 체결된 PLN의 첫 번째 국제 협약이다. PLN은 이로써 8000개 스타트업과 450개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크루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향후 아시아 전역의 스타트업과 협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다르마완 프라소조 PLN 사장은 "이 이니셔티브는 혁신과 협력이 풍성하게 일어나는 생태계 구축을 통해 친환경 에너지 스타트업에 중요한 기회를 창출하기 위한 전략적 단계"라며 "이러한 협력 활동은 경제 성장, 일자리 창출, 빈곤 완화, 환경 보존을 위한 PLN의 관심이 빚어낸 결과"라고 말했다. 2023년 출범한 '커넥스트 파워드 바이 PLN 프로그램'은 인도네시아의 에너지 스타트업을 연결하여 재생 에너지 혁신을 촉진한다. PLN은 이 프로그램이 거둔 성공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태계 구축을 위한 노력을 더욱 강화하여 이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