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북구(구청장 오태원)는 20일, 제11회 북구 소년소녀 합창단 정기 연주회가 북구 문화 예술 회관 공연장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고 밝혔다. 이번 정기 연주회는 한국 전통 민요인 '도라지'와 '날 좀 보소'로 시작해, 현대적인 감각이 돋보이는 'A Little Jazz Mass'의 곡과 디즈니 영화 OST인 '바람의 빛깔', '아라비안 나이트', '프린스 알리' 등 귀여운 율동이 어우러진 곡을 선보이며 청중을 매료했다. 2012년 창단된 북구 소년소녀 합창단은 매년 갈고 닦은 실력을 선보이기 위한 정기 연주회를 개최한다. 작년 11월에는 제1회 남도 전국 합창 경연 페스티벌 청소년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해 북구 문화사절단으로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북구 소년소녀 합창단 김철수 지휘자는 "북구 소년소녀 합창단은 올해의 성공적인 정기 연주회를 바탕으로 내년에도 다양한 활동과 공연을 통해 지역 사회의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할 예정이다"고 소감을 전했다.
부산 사상구(구청장 조병길)는 23일, 사상구 국제화 센터 수탁 기관으로 선정된 학교법인 남성학원(이사장 최정욱)과 사상구 국제화 센터의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운영과 관리를 위해 위·수탁 운영 협약을 체결했다. 2025년 2월 말로 현재 법인과 위탁 기간이 만료 예정임에 따라 공개 모집 절차를 거쳐 수탁 기관을 선정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학교법인 남성학원은 2025년 3월부터 2028년 2월 말까지 3년간 사상구 국제화 센터를 관리, 운영하며 케임브리지 국제학교 프로그램 운영, IB 월드스쿨 인증 등 다년간의 교육 노하우와 혁신적인 교육 철학으로 사상구 국제화센터가 세계화 시대에 걸맞은 창의적인 인재를 길러내는 사상구만의 미래형 교육기관으로 나아갈 수 있게 다각적인 노력을 펼칠 예정이다. 조병길 사상구청장은 "풍부한 교육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학교법인 남성학원과 협약으로 사상구 국제화 센터의 새로운 도약과 발전을 기대한다. 교육 국제화 특구에 걸맞은 명품 교육 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운영에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동서 교육의 격차를 해소하고 외국어 능력을 겸비한 인재 양성을 위해 설립된 사상구 국제화 센터는 2010년 3월 개원 이후로 사상구의 독자적이고 특색있는 외국어 교육 기관으로서 구민에게 전문적인 외국어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베이징 2024년 12월 25일 / 글로벌 디지털 비즈니스 서비스 분야 선도 기업인 텔레퍼포먼스(Teleperformance, 이하 TP)는 24일, 중국 TP가 중국통신기업협회(China Association of Communications Enterprises·CACE)에서 5성급 통신 고객 서비스 센터로 인증받았다고 밝혔다. 고객경험관리(CXM) 업계에서 안전한 사업 관행으로 협회 인정을 받은 건 비국유 민간 기업 중에서는 TP가 처음이다. 중국통신기업협회는 중국 공업신식화부(Ministry of Industry and Information Technology)와 중국 민정부(Ministry of Civil Affairs of People's Republic of China)의 지도와 감독을 받는다. 협회는 정부 당국이 정보 통신 산업에 대한 국가와 산업 표준, 관련 그룹 표준을 수립하고, 체계적으로 홍보하며 이행하는 일을 지원한다. 중국에서 TP는 고객 관리, 운영 컨설팅, 디지털 운영 서비스를 제공한다. TP 그룹의 글로벌 통합 서비스 표준, 관리 사양과 결합한 업계 표준에 따라 운영한다. 중국에서 TP가 공식적으로 인정을 받은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24년 일하기 좋은 기업(Great Place to Work)' 인증을 받은 데 이어 최근에는 '2024년 중화권 최고의 직장(Best Workplaces™ in Greater China)'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지난해에는 베이징시 정부의 '2023년 건강한 기업(Health Enterprise)' 명단에 이름을 올리면서 회사의 직장 내 복지와 안전에 대한 공로를 인정 받았다. 중국에서 TP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우시, 창저우, 선전, 충칭, 다롄, 난닝, 신샹, 광저우, 포산 등 12개 사업장에 약 1만 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텔레퍼포먼스는 디지털 비즈니스 서비스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이다. 세계 최대의 브랜드와 브랜드 고객에게 간단하면서도 빠르고 안전한 고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인간적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최첨단 기술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텔레퍼포먼스의 포괄적인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 포트폴리오는 프런트 오피스 고객 관리부터 운영 컨설팅과 고부가가치 디지털 전환 서비스를 포함한 백 오피스 기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텔레퍼포먼스는 징수, 통역과 현지화, 비자, 영사 서비스, 채용 과정 아웃소싱 서비스 등 다양한 전문 서비스도 제공한다. 100여 개국에 퍼져 있는 다국어 구사 능력이 뛰어나고 열정적인 전문가와 고문으로 구성한 팀과 그룹의 현지 지사는 지역 사회와 고객, 환경을 지원하는 데 보탬이 되고 있다. 텔레퍼포먼스는 2023년 83억 4500만 유로(미화 90억 달러)의 연결 매출에 6억 200만 유로의 순이익을 달성했다. 텔레퍼포먼스 주식은 유로넥스트 파리(Euronext Paris) 시장 A구역에서 거래되며, 지연 결제 서비스가 가능하다. 현재 주식은 CAC 40, 스톡스(STOXX) 600, S&P 유럽 350, MSCI 글로벌 스탠다드(Global Standard), 유로넥스트 테크 리더스(Euronext Tech Leaders) 지수에 포함되어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분야에서는 2022년 9월부터 CAC 40 ESG, 2015년부터 유로넥스트 비지오 유로(Euronext Vigeo Euro) 120 지수, 2019년부터 MSCI 유럽 ESG 리더 지수, 2018년부터 FTSE4굿 지수, 2017년부터 S&P 글로벌 1200 ESG 지수에 포함되어 있다.
베이징 2024년 12월 25일 / 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China Petroleum & Chemical Corporation, 이하 '시노펙: Sinopec)가 향후 수십 년을 예측하는 포괄적인 세계와 중국 에너지 환경 전망치를 발표했다. 업계 최초로 장기 글로벌 에너지 전망을 발표하면서 시노펙은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시노펙은 전 세계 화석 에너지와 재생 에너지의 미래에 대한 상세한 전망치를 제공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전 세계 1차 에너지 소비: 2045년까지 석탄 소비량은 267억 1천만 톤으로 정점을 찍고, 2060년에는 재생 에너지가 총 에너지 소비의 51.8%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 - 에너지 소비 증가 둔화: 전 세계 에너지 소비는 점차 둔화되어 2060년에는 석탄 환산 252억 5천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 이때에는 석유와 가스가 총 에너지 소비의 35.7% 차지 - 석유 수요 정점: 석유 소비는 2030년경 46억 6천만 톤으로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 소비 중심이 운송에서 산업용 공급 원료로 이동하고 있지만, 석유는 2060년까지 총 운송 에너지 수요의 40%를 차지하며 여전히 주된 운송 연료로 남을 것 - 비화석 에너지 부상: 수소, CCUS(탄소 포집, 저장, 활용), 첨단 에너지 저장 기술 등 비화석 에너지원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 수소 소비량은 2060년까지 3억 4천만 톤을 넘어서며, 에너지 사용 비중은 2023년 2%에서 2060년 50% 가까이 증가. 이산화탄소 CUS 용량은 2030년까지 1억 1천만 톤, 2060년까지 47억 톤으로 증가 중국 에너지 전망 2060(China Energy Outlook 2060, 2025년 판)에서는 중국의 에너지 소비와 변화를 자세히 분석하고 다음과 같이 강조했다. - 에너지 소비 정점: 중국의 주요 에너지 소비는 2030년 이후 정체되어 최대 68억 ~71억 톤의 석탄 환산량으로 최고치 기록. 석유 소비는 2027년 이전에 최대 8억 톤을 기록하며 정점. 천연가스는 2026년부터 2030년 사이에 소비량이 1100억 입방미터 이상 증가하는 등 중~상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 비화석 에너지로 전환: 2035년까지 비화석 에너지 발전량이 8400TWh에 달해 화석 연료 기반 발전 능가. 비화석 에너지 소비 비중은 2026년에서 2030년 사이에 27%까지 증가. 중국의 에너지 소비 전환은 전기, 수소, 암모니아, 기타 청정 대안을 통합하는 다각화된 혼합 사용에 점점 더 의존 - 탄소 배출 정점: 중국의 에너지 관련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06억 6천만 톤에서 최대 108~112억 톤으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 이러한 추세는 중국이 2030년까지 탄소 피크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 2025 중국 에너지와 화학 산업 발전 보고서(2025 China Energy & Chemical Industry Development Report)는 중국 에너지와 화학 산업의 진화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 정유 역량: 중국의 정유 역량은 정점에 가까워지고 있으며, 총 정유 생산량은 2025년까지 연간 9억 6천만~9억 7천만 톤으로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 - 화학 부문의 과제: 상당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화학 시장은 올레핀, 방향족 탄화수소 산업의 과잉 생산과 벌크 화학 물질의 지속적인 높은 생산량과 같은 문제에 직면 - 성장을 이끄는 혁신: 혁신은 중국의 에너지와 화학 산업을 보다 지속 가능한 미래로 이끄는 주요 원동력으로 파악 이 보고서를 통해 시노펙은 정책 입안자, 업계 리더, 이해 관계자가 향후 수십 년 동안 과제와 기회를 탐색할 수 있는 로드맵을 제공한다. 시노펙은 에너지 전환을 주도하고, 기술을 발전시키며, 에너지와 화학 부문 전반에 지속 가능한 저탄소 솔루션을 제공한다.
창사, 중국 2024년 12월 25일 / 대형 중장비 제조업체인 줌라이언 중공업 과학기술(Zoomlion Heavy Industry Science & Technology Co., Ltd., 이하 줌라이언)이 세계 최고인 82.3m 높이의 직선 붐 고소 작업대(AWP) ZT82J 등 일련의 혁신적인 AWP 제품을 출시했다. 줌라이언이 글로벌 시장 개발을 위해 헌신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는 이러한 제품은 AWP 부문에서 줌라이언의 리더십을 더욱 확고히 다져줄 것으로 기대한다. ZT82J는 직선 붐 AWP 분야에서 68m와 72m 제품에 이어 세 번째 세계 기록을 세운 줌라이언 제품이다. 플랫폼 진폭 34.1m, 최대 작업 하중 454kg, 등반 능력 35%를 자랑하는 82.3m AWP는 믿을 수 있고 안정적이며 지능적인 AWP의 대표 제품이다. 또한 초장축 붐 복합 움직임과 이중 실린더 시너지 제어 기술과 21가지 안전 보호 조치를 통해 업계 최고의 안전 성능을 제공한다. 줌라이언은 작업 높이가 50.6m에 달하고 최대 하중 454kg을 지원하는 확장형 전기 직선 붐 AWP인 ZT51JEH도 출시했다. 이 제품은 전기와 디젤 모드로 모두 작동이 가능해 전기 공급이 불가능한 야외 작업 환경과 도시, 실내 프로젝트의 건설 요구 사항을 모두 충족할 수 있다. 완충하고 연료를 보급하면 7일 이상 연속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순수 전기 제품의 내구성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ZA42J는 현재 줌라이언의 가장 큰 크랭크 붐 AWP로, 뛰어난 스패닝(수평 이동) 기능으로 유명하다. 스패닝 높이는 24.5m이며 작업 높이는 44.03m다. 이 모델은 다단계 실린더 텔레스코핑(신축) 기술을 활용해 도달 범위와 활용성을 개선했다. 빠른 리프팅(상승)과 프로빙(탐사) 기능을 갖고 있어 다양한 작업 요구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줌라이언의 텔레핸들러(지게차형 작업 장비)에는 고정형과 회전형으로 구성된 7가지 모델이 있으며, 모델의 작업 높이는 6~25m, 적재 중량은 2.5~4.5톤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다목적 장비는 포크, 버킷, 스프레더 플랫폼 등 다양한 부착물을 지원하여 다양한 작업 환경에 맞는 유연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줌라이언은 지능형 웨어러블 안전 장비, 지능형 AWP 관리 시스템, 글로벌 예비 부품 상점을 도입하고 최근 폐막한 바우마 차이나(bauma China) 2024에서 호주, 라틴아메리카, 동남아시아, 중동, 유럽 등지에서 20곳 이상의 고객과 신규 주문을 확보했다. 줌라이언은 지속적 혁신으로 건설 현장에서 안전과 생산성을 향상하는 신뢰할 수 있고 효율적인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2024년 12월 25일 / 말레이시아 항공 그룹(MAG)은 25일, MAB 엔지니어링 콤플렉스 내 6번 격납고에서 열린 론칭 행사에서 첫 A330-900(A330neo) 항공기를 공개하며, 기단 현대화 전략의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다. 새 항공기의 도입은 운영 효율성을 강화하고, 승객에게 향상된 편안함과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MAG의 확고한 의지를 나타낸다. 번호 9M-MNG로 등록된 이 항공기는 로케 시우 푹(YB Loke Siew Fook) 말레이시아 교통부 장관, 말레이시아 항공 그룹(MAG)의 주요 주주인 카자나 내셔널(Khazanah Nasional Berhad)의 매니징 디렉터 Dato' Amirul Feisal Wan Zahir, 그리고 말레이시아 항공 그룹(MAG)의 그룹 매니징 디렉터 Datuk Captain Izham Ismail이 참석한 가운데 공식적으로 공개했다. 이 항공기는 오늘 오후 10시 30분(현지 시간), MH149편으로 멜버른을 향한 첫 비행에 나서며, 이후 점진적으로 오스트랄라시아를 포함한 장거리 노선을 운항할 예정이다. YB Loke Siew Fook, 말레이시아 교통부 장관은 "말레이시아 항공 그룹(MAG)의 첫 Airbus A330neo 도입은 단순히 새로운 항공기를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끈기와 결단력, 그리고 지속적인 발전에 대한 확고한 믿음의 결실이다"라고 말하며, "경쟁이 치열한 항공 산업에서 MAG의 리더십과 지속 가능성에 대한 국가적 의지를 반영하며, 말레이시아 인재의 탁월한 잠재력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Datuk Captain Izham Ismail, 말레이시아 항공 그룹(MAG)의 그룹 매니징 디렉터는 "첫 A330neo 도입으로 MAG의 기단 현대화와 함께 혁신, 편안함, 지속 가능성이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항공 여행 시대를 열었다. 이번 도입은 승객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헌신을 강조하며, 말레이시아의 환대 정신을 체감할 수 있는 특별한 여행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새로운 A330neo는 말레이시아 항공 그룹(MAG)의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기단에 합류하는 최신 항공기로, 2022년 8월 Airbus, Rolls-Royce, Avolon과 체결한 양해각서(MOU)에 따라 2028년까지 총 20대를 도입한다. Rolls-Royce Trent 7000 엔진으로 구동되는 이 항공기는 공기역학, 첨단 소재 기술의 최신 혁신을 적용하여 기존 세대 항공기 대비 연료 소비, 탄소 배출량을 14% 절감한다. 말레이시아 항공 그룹(MAG)의 A330neo 항공기는 총 297석(비즈니스 클래스 28석, 이코노미 클래스 269석)을 갖추고 있으며, 이코노미 클래스 중 24석은 추가 레그룸을 제공한다. 1-2-1 헤링본 배열로 구성된 새롭게 디자인된 Collins Aerospace Elevation 비즈니스 클래스 좌석은 그룹 최초로 전용 프라이버시 도어가 있는 올스위트 캐빈으로, 실용성과 편안함을 최우선으로 고려한다. 새로운 A330neo 항공기는 업계 선두의 FlightPath3D 이동 지도 시스템과 같은 고급 기능을 통해 여행 경험을 한층 업그레이드한다. 특히 MAG의 기단 전체에서 가장 상호작용이 뛰어난 시스템으로, 실시간 추적과 상세한 여정 정보를 제공하며 새로운 방식의 하늘 탐험 경험을 선사한다. 가족 친화적인 접근 방식을 유지하기 위해,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는 '키즈 모드'가 탑재되어 아이들이 재미있게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돕는다. 승객은 항공기가 운항하는 목적지의 문화와 역사를 강조한 종합적인 여행 가이드를 즐길 수 있으며, 기내 모든 좌석에서 탑승 클래스나 멤버십 등급에 상관없이 고속 Wi-Fi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비즈니스 클래스 승객은 셀프 서비스 개념의 SkySnacks를 통해 언제든 가벼운 간식을 즐길 수 있다. 같은 행사에서 말레이시아 항공은 2025년 1월부터 Mercedes-Benz와의 독점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대상 승객은 프리미엄 편안함 속에서 전기차인 Mercedes-Benz EQS 500 4MATIC과 Mercedes-Benz S 580 e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스타일리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KLIA 터미널 1에서 메인 터미널 빌딩과 새틀라이트 빌딩 간 전용 교통편으로 제공되며, 말레이시아 항공이 이를 도입한 유일한 항공사다. 말레이시아 항공 그룹(MAG)은 현재 말레이시아 항공, Firefly, MASwings, MASkargo 등의 자회사를 포함하여 총 107대의 항공기를 운영하고 있다. 그룹은 2033년까지 소형기 62대와 대형기 52대로 기단을 확장할 계획이다. 5번째 Boeing 737-8 항공기는 12월 중순에 도입했다. 나머지 20대는 2025년에서 2026년 사이에 도입한다. 말레이시아항공 그룹(MAG)은 항공사, 로열티와 여행 서비스(LTS), 항공 서비스 등 세 가지 주요 사업 포트폴리오로 구성된 글로벌 항공 조직이다. 현재 말레이시아항공 그룹(MAG)의 항공사 포트폴리오는 전 세계, 국내로 세분화된 시장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말레이시아 항공, Firefly, MASwings를 포함한다. 순례 여행 솔루션을 제공하는 AMAL by 말레이시아 항공도 포함한다. 말레이시아 항공 그룹(MAG)은 MAB Engineering, MASkargo, AeroDarat과 말레이시아 항공 아카데미를 포함하여 유지 보수, 수리, 점검(MRO), 화물, 지상 조업,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항공 서비스 분야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 로열티와 여행 서비스(LTS) 사업 포트폴리오는 말레이시아 항공 그룹(MAG)의 항공 서비스 사업의 강점과 전문성을 보완하는 여행 솔루션과 로열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Journify, Enrich, MHholidays와 Firefly Holidays가 이에 포함된다. 명확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통해 말레이시아 항공 그룹(MAG)은 2025년까지 아시아를 선도하는 여행, 항공 서비스 그룹으로 자리매김하고, 맞춤형 종합 여행 솔루션을 제공하는 비전을 실현하고자 한다.
싱가포르 2024년 12월 23일 / 독립 글로벌 호스피탈리티 기업인 반얀그룹(Banyan Group, '반얀트리 홀딩스 리미티드, Banyan Tree Holdings Limited' 이하 '그룹')이 창립 30주년을 맞아 기념 행사를 개최하고 2025년을 위한 흥미로운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반얀그룹은 싱가포르에서 100번째 리조트 개장을 앞두고 있다. 아시아를 넘어 탄자니아와 도미니카 공화국 등 새로운 여행지에도 개장할 예정이다. 반얀그룹의 에디 씨(Eddy See) 사장 겸 최고경영자는 "우리는 성장과 혁신의 다음 장에 접어들면서 지난 30년 간의 모멘텀을 바탕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며 "2025년은 아시아를 넘어 새로운 지역에 깃발을 꽂으면서 역동적인 포트폴리오의 의미 있는 진화가 계속될 것이다. 새로운 여행지, 상품, 체험, 파트너십을 통해 반얀트리는 지속 가능성에 대한 약속과 웰빙에 대한 헌신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년에도 성장 모멘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15개의 새로운 호텔, 리조트 개장과 5개의 새로운 브랜드 레지던스 개발을 통해 그룹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계획이다. 지속적인 브랜드 진화를 반영하여 2025년에 개장하는 주요 호텔, 리조트는 전통적인 호스피탈리티 한계를 뛰어넘는 멀티 콘셉트 공간을 개발하여 웰빙, 자연, 문화, 커뮤니티, 리테일 등을 통합한 다층적인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 레인포레스트 리조트 바이 반얀트리(Mandai Rainforest Resort by Banyan Tree)는 반얀그룹의 싱가포르 첫 번째 리조트다. 338개의 객실을 갖춘 이 리조트는 싱가포르의 야생동물과 자연이 어우러진 만다이 야생동물 보호구역(Mandai Wildlife Reserve) 내에 자리 잡고 있으며, 건축부터 인테리어에 이르는 모든 요소가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되어 자연 친화적 숙박 경험을 제공한다. 우부유, 반얀트리 이스케이프(Ubuyu, a Banyan Tree Escape)는 반얀그룹 최초의 사파리 리조트로 탄자니아에 개장했다. 사람의 손길이 거의 닿지 않은 루아하 국립공원(Ruaha National Park)과 그레이트 루아하강(Great Ruaha River) 유역을 따라 자리 잡은 이 리조트는 지역 사회, 문화, 야생과 만남을 통해 깊은 유대감과 몰입감을 느낄 수 있는 의미 있는 디스커버리 체험을 선사한다. 반얀그룹의 첫 번째 독립형 통합 개발은 활기찬 도시 방콕에 위치한 부티크 도시형 리조트다. 숙박 시설, 스파, 다이닝, 멤버십 클럽, 나이트클럽이 결합된 이 리조트는 고객이 만남, 휴식, 업무를 할 수 있는 역동적 공간을 제공하며 하나의 목적지 내에서 풍부하게 진화하는 활동을 경험할 수 있다. 중국의 반얀트리 주하이 피닉스 베이(Banyan Tree Zhuhai Phoenix Bay), 한국의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Banyan Tree Haeundae Busan)과 카시아 색달 제주(Cassia Saekdal Jeju), 태국의 카시아 람-인트라 방콕(Cassia Ram-Intra Bangkok), 필리핀의 옴 만다우 시티 세부(Homm Mandaue City Cebu) 등 아시아 지역에서 새로운 호텔과 리조트가 문을 연다.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반얀그룹 최초의 리조트인 카시아 푼타 카나(Cassia Punta Cana)를 개장한다. 2025년부터 에미레이트 항공과 에바 항공에 탑승하는 전 세계 여행객에게 반얀트리 갤러리 제품(Banyan Tree Gallery)을 구매할 수 있게 됐다. '환경을 포용하고 사람을 섬긴다(Embracing the Environment, Empowering People)'는 반얀그룹의 창립 정신을 통해 지속 가능성과 웰빙 영역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중국환경보호기금(China Environmental Protection Foundation)과 협력하여 하이난섬의 산호초 복원 프로젝트(Coral Reef Restoration Project)를 시작하고, 몰디브에서 새로운 산호 유충 복원 방법을 도입하는 등 해양 보존 노력을 강화할 것이다. '리와일딩 반얀 펀드(Rewilding Banyan Fund)'의 지원을 받는 재야생화 노력은 인도네시아 빈탄섬 꿀벌 친화적인 숲을 조성하는 등 자연 서식지 복원을 목표로 한다. 반얀그룹 독점 8가지 웰빙 원칙(8 Pillars of Wellbeing)은 2025년에 그룹의 스파 브랜드에 대한 흥미로운 개발과 함께 수련회, 방문 실무자 프로그램을 통해 숙박 경험 전반에 걸쳐 통합할 예정이다. 반얀그룹은 2024년 비즈니스 전반에 걸쳐 100개가 넘는 수상과 영예를 안으며 전 세계적으로 성과와 이정표를 인정 받았다. 반얀그룹(반얀트리 홀딩스 리미티드)은 목적 지향적 사명을 중시하는 글로벌 호스필탈리티 기업이다. 반얀그룹은 선구자 정신, 디자인 주도 경험, 책임감 있는 관리에 대한 헌신에 자부심을 갖고 있다. 91개의 호텔과 리조트, 140개 이상의 스파와 갤러리, 20개가 넘는 브랜드 레지던스를 20여 개국에 보유하고 있다. 플래그십 브랜드인 반얀트리를 포함한 12개 글로벌 브랜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성이 넘치는 각 브랜드는 체험형 멤버십 프로그램인 위드반얀(withBanyan)으로 통합되어 있다. 반얀 글로벌 재단(Banyan Global Foundation)과 반얀 아카데미(Banyan Academy)를 통해 '환경을 포용하고 사람을 섬긴다(Embracing the Environment, Empowering People)'는 창립 정신을 구현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반얀그룹은 재생 관광과 고객 경험을 향상시키는 혁신적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여행을 이끌어가는 선도적인 옹호자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알링턴, 버지니아 2024년 12월 24일 / 소비자기술협회(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 CTA)®는 전 세계 최대의 온라인 뉴스,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인 X 코퍼레이션의 CEO 린다 야카리노(Linda Yaccarino)를 CES® 2025의 기조 연설자로 맞이한다. 야카리노는 1월 7일, 베네시안 호텔 팔라조 볼룸에서 에미상을 수상한 탐사 전문 저널리스트 캐서린 헤리지(Catherine Herridge)와 함께 기조 연설을 진행할 예정이다. 혁신적인 리더이자 비저너리인 야카리노는 X 코퍼레이션 CEO로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미래를 정의하는 데 앞장서면서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X는 그녀의 리더십 아래 모든 브랜드, 크리에이터, 커뮤니티를 위한 전 세계의 대화와 혁신적인 솔루션을 촉진하는 역동적인 플랫폼으로 진화했다. 야캬리노는 "X는 우리 주머니 속 글로벌 뉴스룸이다. 이곳은 일반인과 권력자 모두가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는 진정한 장소"라고 하면서 "CES는 우리가 전체 생태계를 어떻게 완전히 재구성하고 있는지에 발표할 수 있는 완벽한 장소"라고 말했다. CTA의 CEO인 게리 샤피로(Gary Shapiro)는 "린다의 경력은 혁신, 회복력과 비전이라는 CES 정신의 본보기"라고 하면서 "리더십 그리고 미디어와 기술 세계에 대한 기여는 그녀가 우리 오디언스에게 미래를 대담하게 생각하도록 영감을 주고 도전하도록 해주는 특별한 인물임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킨제이 파브리지오(Kinsey Fabrizio) CTA 사장은 "린다는 선구자이며 CES 저장 후 닫기2025 기조 연설을 통해 콘텐츠 제작, 소셜 플랫폼의 진화하는 지형과 기술이 어떻게 크리에이터와 커뮤니티가 번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지 의미있는 대화를 촉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캐서린 헤리지는 야카리노와 인터뷰할 예정이다. CBS 뉴스에 있었던 헤리지는 X에서 85만 명 이상의 팔로워를 갖고 있는 프리랜서 저널리스트이다. 그녀는 수정 헌법 제1조와 언론 자유에 대한 강력한 지지자이다. CES®는 전 세계 최강의 기술 행사로서 획기적인 기술과 세계적인 혁신가를 검증하는 장이다. 이 행사는 전 세계 최대 브랜드가 사업을 하고 새로운 파트너를 만나며 가장 샤프한 혁신가가 무대에 오르는 곳이다. 소비자기술협회(CTA)®가 소유하고 개최하는 CES는 기술 분야의 모든 면을 다루고 있다. CES 2025는 2025년 1월 7일부터 10일까지 라스베가스에서 열린다. 북미 최대의 기술 업계 협회인 CTA는 기술 분야 그 자체이다. 회원은 스타트업에서 세계적 브랜드에 이르는 전세계 최고의 혁신가로서 1천800만 개 이상의 미국 일자리를 지원하고 있다. CTA는 전세계 최강의 기술 행사인 CES®를 소유하고 개최한다.
베이징 2024년 12월 24일 / 중국 동북부 헤이룽장성의 '얼음 도시'로 알려진 하얼빈에서 21일, 제26회 '하얼빈 빙설 대세계(Harbin Ice and Snow World)'가 공식 개장했다. 중국에서 가장 상징적인 겨울 테마파크가 다시 문을 열었다. 개장하자마자 많은 방문객이 몰려들었다. 일부는 인기 있는 얼음 미끄럼틀을 타기 위해 수백 미터 줄을 서서 기다리기도 했다. 하얼빈 빙설 대세계 외에도 하얼빈은 방문객에게 재미를 더하기 위해 겨울을 주제로 한 많은 관광 명소를 개장했다. 12월 17일 춘리(Qunli) 음악 공원에는 거대한 눈사람이 세워졌다. 빨간 스카프를 두르고, 빨간 모자를 쓴 채 웃고 있는 이 도시의 랜드마크는 많은 관광객의 관심을 끌었다. 소피아 광장(Sophia Square)과 하얼빈 번화가인 중앙대가(Central Street)에는 하얼빈 폴라파크(Harbin Polarpark)에서 온 10마리의 귀여운 펭귄이 뒤뚱뒤뚱 걷고 노래를 부르며 팬을 맞이했다. 태양도(Sun Island) 관광지에서는 20m 높이의 '원숭이 왕' 손오공의 정교한 눈 조각상이 제37회 하얼빈 대양도 국제 눈 조각 예술 박람회(Harbin Sun Island International Snow Sculpture Art Expo)에서 데뷔하여 위풍당당하고 강력한 자세를 선보였다. 도시의 한 쇼핑몰 앞에 놓은 얼음 벽돌 안에는 얼어붙은 노란 장미가 전시되어 소셜 미디어에서 입소문이 났다. 장미가 얼음 벽에서 터져 나와 꽃 폭포를 만들었다. 제41회 하얼빈 국제 빙설제(Harbin International Ice and Snow Festival), 제51회 얼음 등불 예술 공원(Ice Lantern Art Park), 제7회 송화강 빙설 카니발(Songhua River Ice and Snow Carnival), 제36회 국제 얼음 조각 경연 대회(International Ice Sculpture Competition), 제12회 국제 콤비네이션 얼음 경연 대회(International Combination Ice Sculpture Competition) 등 일련의 특별 행사가 열리면서 하얼빈에서 펼쳐지는 눈과 얼음 활동은 매력을 발산할 것으로 기대한다.
타이페이 2024년 12월 24일 / AI 데이터센터 소프트웨어 및 인프라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리더 제타바이트(Zettabyte)는 전 세계 최대의 전자 제품 제조사 훙하이 테크놀로지 그룹(Hon Hai Technology Group, 폭스콘: Foxconn)과 전략적 협력을 발표했다. 자본 투자에 기반을 두고 있는 이번 협력의 목표는 세계적으로 에너지 효율적인 AI 솔루션의 혁신을 촉진하고 그 채택을 확대하는 일이다. 제타바이트 공급 제품의 최전선에는 첨단 AI 데이터센터 관리 소프트웨어인 지웨어(Zware)가 있다. 지웨어는 GPU 성능을 최적화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극적으로 줄이고 컴퓨팅 출력은 최대화한다. 이 최첨단 솔루션은 기업이 최고의 AI 컴퓨팅 효율과 지속 가능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제타바이트 케네스 타이(Kenneth Tai) 회장은 "제조와 혁신 분야에서 탁월함으로 유명한 폭스콘과 협력하게 되어 기쁘다"며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에너지 효율적인 고성능 AI 컴퓨팅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제타바이트와 협력은 지속 가능한 기술을 발전시키겠다는 폭스콘 의지에 부합한다. 폭스콘에 따르면, 에너지 소비를 크게 줄이면서도 AI 데이터센터의 운영 효율을 높이는 지웨어의 능력은 미래의 AI 데이터센터에 새로운 벤치마크를 설정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준다. 제타바이트는 AI 데이터센터 기술 분야의 세계적인 혁신 기업이며 AI 데이터센터의 효율과 지속가능성을 재정의하는 솔루션을 공급한다. 대표 소프트웨어 지웨어는 지속가능하고 효율적인 AI 컴퓨팅의 새로운 표준을 수립한다. 1974년 대만에서 설립한 훙하이 테크놀로지 그룹(폭스콘)은 전 세계 최대의 전자 제품 제조사이다. 선도적인 기술 솔루션 공급사이며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중 32위에 올라 있다. 2023년 총매출은 6조 1,620억 TWD(약 1,980억 달러 또는 1,830억 유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