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저우, 중국 2025년 10월 21일 / '2025 중국 국제 대학생 혁신 경진대회(China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Innovation Competition 2025)' 결선이 10월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허난성 중부 도시 정저우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됐다고 신화통신(Xinhua News Agency)이 보도했다. 대회는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 10개 중앙정부 부처, 허난성 인민정부가 공동 주최하고 정저우대학과 정저우시 인민정부가 주관했다. 주최 측에 따르면 전 세계 161개국과 지역의 5673개 대학에서 2443만 명이 참여해 619만 건의 프로젝트로 경쟁을 벌였다. 10월 15일 정저우대학에서 열린 결선에서는 국내외 대학 6개 팀이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심사위원의 질의에 답했다. 심사 결과, 칭화대학이 '뇌형(腦型) 아키텍처 기반 차세대 범용 모델과 AI 에이전트 생태계(Next-Generation General-Purpose Model and AI Agent Ecosystem Based on Brain-like Architecture)' 프로젝트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저장대학은 'YiWise – AI 대형 모델 기반 인터랙티브 마케팅 서비스 선도기업(YiWise – The Industry Leader in AI Large Model Interactive Marketing Services)'으로 2위를 차지했다. 3위는 홍콩중문대학('광속 연결 – 차세대 데이터센터 연결을 위한 신경모방 광학 프로세서(LightSpeed Interconnect – Neuromorphic Optical Processor for Next-Generation Data Center Interconnects)'), 난징이공대학('광인 – AI학습용 고속 케이블 전자기 차폐 필름(Guang Yin – High-Speed Cable Electromagnetic Shielding Film for AI Training)'), 옥스퍼드대학과 레스터대학 합동팀('효소 급증(Enzyme Surge)'), 난양공과대학('BIOV – 면역 세포 치료 기술의 새 시대를 선도(BIOV – Leading the New Era of Immune Cell Therapy Technology)')가 공동 수상했다. 시상식 후에 허난성 교육부와 2026년 대회 개최지인 장쑤성 교육부 대표가 대회 깃발을 공식적으로 인계하는 깃발 이양식이 열렸다. 이번 행사에서는 우수 프로젝트 전시회(Excellent Project Exhibition)와 자원 연계 박람회(Resource Connection Fair) 및 세계 대학생 혁신 대회(Innovation Conference for World University Students)도 열렸다. '다르게 행동하고, 승리를 거머쥐라(Dare to Differ, Dare to Win)'를 주제로 열린 2025 중국 국제 대학생 혁신 경진대회는 '중국에 더 깊이 뿌리내리고, 세계로 더 나아가며, 교육에 더 집중하고, 범위를 더 포괄적으로 넓히고, 혁신 정신을 강화하며, 협력적인 행동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고 주최 측은 설명했다. 전 세계 100대 대학 모두가 참가한 이번 대회는 중국과 해외 젊은 혁신가들이 학문적 교류와 협력을 펼치는 중요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올해는 홍콩•마카오 지역 단독 대회가 처음으로 신설됐다. 주최 측은 "유럽•아프리카 등 전 세계 7개 지역에서 지역 예선이 열리는 다지역 형식을 통해 대회는 국제적 영향력을 한층 확대했다"고 밝혔다.
마드리드 2025년 10월 20일 / IFEMA 마드리드(IFEMA MADRID)와 스페인수출업자연합(FEPEX)이 공동 주최한 '푸르트 어트랙션 2025(Fruit Attraction 2025)'이 제17회를 맞아 역대 최대 성과를 기록하며 폐막했다. 이번 박람회에는 152개국에서 12만 1137명의 업계 관계자가 방문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참가자 수 3%, 국제 참가 비율 5% 증가한 수치다. 전체 참가자 중 49%가 해외 방문객이었으며, 2024년 대비 7% 상승해 박람회의 글로벌 위상과 전문성이 더욱 강화되었음을 입증했다. 스페인 내에서는 안달루시아, 발렌시아, 무르시아, 카탈루냐 지역이 주도적으로 참여했으며, 해외에서는 이탈리아, 프랑스, 네덜란드, 영국을 비롯해 페루, 칠레,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에서도 전문가들이 대거 참가했다. 올해 박람회는 규모 면에서도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64개국에서 2485개 기업이 참가했으며, 전시 면적은 78212㎡(순면적)로, 2024년 대비 전시 면적 11%, 참가업체 수 13%가 각각 증가했다. 또한 이번 박람회는 국제 판로 확대 및 글로벌 홍보의 장으로서 역할을 강화했다. 스페인 농업•어업•식품부(Ministry of Agriculture, Fisheries and Food), 스페인무역투자청(ICEX), FEPEX이 공동으로 운영한 '국제 바이어 프로그램(International Buyers Programme)'을 통해 58개국에서 주요 바이어, 유통 구매담당자, 수입업자, 도매상 등 600명이 마드리드를 찾았다. 올해의 '초청 수입국(Guest Importing Countries)'으로는 말레이시아와 멕시코가 선정돼 주목을 받았다. 기술 세션과 콘퍼런스 프로그램도 성황리에 진행됐다. '#alimentosdespaña가 주관한 Factoría Chef'와 함께 열린 총 95개 세션에는 3200명 이상이 참석해 혁신, 지속가능성, 물류, 과일•채소 기술 등 주요 산업 동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토마토'가 올해의 스타 품목(Star Product)으로 선정됐다. 토마토는 스페인 원예 산업의 상징적인 작물로, 요리•영양학•문화적 가치뿐 아니라 지속가능성과 품질 우수성의 상징으로 인정 받았다. 푸르트 어트랙션 2025'는 이번 행사 기간 동안 다양한 업계 회의와 포럼을 개최했다. 그중 하나인 프랑스•이탈리아•스페인•포르투갈 4개국 공동 과일•채소위원회(Joint Fruit and Vegetable Committee) 회의에는 각국의 생산자, 유통업 협회 대표, 정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 회의는 스페인에서 4년마다 열리는 정례 회의로, 올해는 토마토, 딸기, 마늘, 복숭아•넥타린, 사과•배, 감귤, 포도, 간편식 제품, 식물보호제품 등 2025년 품목별 협의그룹(Product Contact Groups)에서 도출된 결과와 요구사항을 검토하고, 차기 공동농업정책(CAP, Common Agricultural Policy)에 대한 제안을 논의했다. 혁신 부문과 관련해, 이노베이션 허브 어워즈(Innovation Hub Awards)는 총 50개의 출품작과 9개의 최종 후보 중에 업계에서 가장 뛰어난 제품과 서비스를 선정했다. 신선 농산물(Fresh Produce) 부문에서는 IRTA(Institut de Recerca i Tecnologia Agroalimentàries)가 수상했으며, 과일•채소 산업(F&V Industry) 부문에서는 에덴코어(Edencore)가, 지속가능성 및 사회적 헌신(Sustainability and Commitment Actions) 부문에서는 팔렛 슈어(Pallet Sure)가 각각 수상했다. 또한 프루트 어트랙션 2025에서는 WAH와 협력해 베스트 스탠드 어워즈(Best Stand Awards)도 시상했다. 이 상은 혁신, 디자인, 지속가능성, 독창성에서 두각을 나타낸 참가업체를 선정해 수여된다. 바이와 글로벌 프로듀스(BayWa Global Produce)는 지속가능성 부문에서 수상했으며, 폰테스타드(Fontestad)는 최우수 디자인상을, BCC-그루포 카하마르(BCC - Grupo Cajamar)는 가장 독창적인 전시 공간상(Most Original Stand Space)을 각각 수상했다. 마지막으로, 6000표 이상의 투표로 선정된 피플스 초이스(People's Choice) 부문에서는 모구에르 쿠나 데 플라테로(Moguer Cuna de Platero)가 신선 농산물 부문에서, 비가닉(Veganic)이 보조 산업 부문에서, 온타임 코퍼레이트 유니언(Ontime Corporate Union)이 신선식품 물류 부문에서, 히스파텍 아그로인텔리헨시아(Hispatec Agrointeligencia)가 혁신 및 기술 부문에서 각각 수상했다. 제15회 APAE 저널리즘 어워즈(XV APAE Journalism Awards)와 푸르트 어트랙션 저널리즘 어워드(Fruit Attraction Journalism Award)도 함께 수여됐다. 올해의 수상자는 프랑스 매체 프룩티도르(Fructidor)가 선정됐다 이번 푸르트 어트랙션 2025의 개최로 마드리드 지역에 약 4억700만 유로의 경제 효과가 발생했으며, 3066개의 일자리 유지에 기여한 것으로 추산된다. 이를 통해 푸르트 어트랙션과 IFEMA 마드리드(IFEMA MADRID)는 지역 경제와 사회 발전의 핵심 동력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IFEMA MADRID와 FEPEX가 주최하는 다음 '푸르트 어트랙션 2026'은 2026년 10월 6일부터 8일까지 마드리드 국제전시장(IFEMA)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2025년 10월 19일 / 제25차 아세안 에너지 비즈니스 포럼(ASEAN Energy Business Forum, AEBF-25)이 10월 15일부터 17일까지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아세안에 동력을: 경계를 넘어 번영을 건설하다 (Powering ASEAN: Bridging Boundaries, Building Prosperity)'를 주제로 열렸다. 이번 포럼은 역내 에너지 연계, 청정에너지 전환, 투자 및 금융, 기술 구현을 중심으로 진행됐으며, 아세안 10개국의 에너지 장관, 정책 입안자, 산업 단체, 기업 리더 등 1500명 이상이 참석했다. 핵심 참여 기업인 화웨이 디지털 파워 아시아태평양(Huawei Digital Power Asia Pacific)은 고품질 올-시나리오 스마트 태양광+에너지 저장(PV+ESS) 솔루션과 혁신 기술을 선보였으며, 아세안 각국의 업계 고객 및 파트너들과 심층적으로 교류했다. 이를 통해 화웨이는 아세안의 '제로 탄소(zero-carbon) 전환'을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샤허성(Xia Hesheng) 화웨이 디지털 파워 부사장 겸 전략•마케팅 부문 사장은 10월 15일 'Enabling the ASEAN Power Grid: The Critical Role of Grid-Forming Technologies for Cross Border Power Trading(아세안 전력망 활성화: 국경 간 전력 거래를 위한 그리드 포밍 기술의 핵심 역할)'이라는 제목의 기조연설을 발표했다. 그는 아세안 지역의 전력망 연계와 재생에너지의 국경 간 송전이 탄소중립 달성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전력망에서 안정적 송전과 전력 소비가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화웨이 디지털 파워가 지난 10여년간 PV+ESS 산업을 '그리드 팔로잉(Grid Following)'에서 '그리드 포밍(Grid Forming)' 단계로 이끌었다'며 "올-시나리오 그리드 포밍 기술, 높은 신뢰성, 그리고 안전성을 기반으로 산업 내 고품질의 새로운 기준을 세웠다"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화웨이 디지털 파워의 그리드 포밍 기술이 세계 최초의 GWh급 마이크로 그리드 프로젝트에 적용되어 사우디아라비아의 친환경 관광 대형 프로젝트인 '더 레드 씨(The Red Sea)'에 100% 녹색 에너지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캄보디아 최초의 1GWh 그리드 포밍 에너지 저장 프로젝트에서도 화웨이 디지털 파워의 솔루션은 TUV SUD 인증을 획득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화웨이 디지털 파워는 앞으로도 아세안 국가의 고객 및 파트너와 협력해 첨단 그리드 포밍 기술과 고품질 중심의 에너지 전환 모범 사례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첸셰밍(Chen Xieming) 화웨이 디지털 파워 글로벌 전력망 전문가 '아세안 전력망 회복력 강화: 에너지 안보 및 재생에너지 통합을 위한 정책 및 투자 전략(Strengthening ASEAN Power Grid Resilience: Policy and Investment Strategies for Energy Security and Renewable Integration)'을 주제로 한 원탁토론에서, 지역 전력망의 안전을 보장하고 아세안 전력 연계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통합된 지역 전력망 표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에너지 시스템에서는 그리드 포밍(Grid Forming) 기술 표준이 역내 전력망 회복력을 보장하는 핵심 요소라고 강조했다. 또한 총천펑(Chong Chern Peng) 화웨이 디지털 파워 말레이시아 사업부 부사장은 보스턴컨설팅그룹(Boston Consulting Group)과 함께한 'CEO 및 리더 원탁토론(CEO & Leaders Thoughts)'에서, 아세안 전력망 내 말레이시아의 전략적 위치를 강조했다. 그는 "말레이시아가 역내 에너지 연계의 허브로서 태국, 싱가포르 등 인접국과의 국경 간 전력 거래를 통해 핵심적인 에너지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며 "아세안 전력망 비전을 실현하려면 각국의 전력망이 회복력과 역동성을 갖춰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그리드 포밍 기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총천펑 부사장은 화웨이 디지털 파워가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PV+ESS 그리드 포밍 기술은 저탄소 재생에너지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더욱 회복력 있는 전력망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샤허성 화웨이 디지털 파워 부사장은 '장관 및 CEO 대화(Ministers and CEOs Dialogue)' 세션에서, 아세안 에너지 경제의 번영을 촉진하기 위한 핵심은 안정적이고 고품질의 에너지 인프라를 구축하고 관련 정책 지침과 표준을 수립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화웨이 디지털 파워는 올-시나리오 그리드 포밍 솔루션을 활용해 전력망의 단락 용량, 관성, 블랙스타트(Black Start)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더 레드 씨' 프로젝트에서는 수천 대의 전력변환장치(PCS)가 오프그리드(off-grid) 모드로 병렬 연결되어, 몇 분 이내로 블랙스타트를 구현할 수 있다. 화웨이 디지털 파워는 셀(Cell)부터 전력망(Grid)에 이르는 단계별 ESS 안전 보호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스마트 스트링(Smart String) 아키텍처와 엄격한 품질 관리 체계를 통해 제품 안전의 기반을 다지고 있다. 또한 연구개발(R&D)부터 서비스에 이르는 전(全) 수명 주기 품질관리를 통해 시스템의 장기적인 안정 운영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칭하이성의 골무드(Golmud) 프로젝트는 13년간 안정적으로 운영되며 고장률 0.5% 미만을 유지하고 있다. 화웨이 디지털 파워는 엔드투엔드 고품질 제품과 기술을 바탕으로 아세안이 PV+ESS 산업을 글로벌 에너지 전환의 모범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아세안의 녹색 미래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에너지에 뿌리를 두고 있다. AEBF-25에서 화웨이 디지털 파워는 업계를 선도하는 그리드 포밍 기술과 시스템 수준의 역량을 선보였을 뿐만 아니라, 녹색•지능형•지속가능한 미래를 구축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강조했다. 앞으로 화웨이 디지털 파워는 R&D 투자를 강화하고 현지 파트너와 협력을 심화하여 아세안의 에너지 믹스 전환을 공동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화웨이 디지털 파워는 "기술이 제로 탄소 세상을 실현하는 열쇠이며, 강력한 그리드 포밍 기술을 바탕으로 화웨이 디지털 파워는 그 여정의 신뢰할 수 있는 동반자가 될 것"이라는 의지를 확고히 했다.
타이베이 2025년 10월 17일 / 대만 경제부 산하 산업기술국(DoIT)이 오늘 대만 이노테크 엑스포(TIE)의 혁신경제관(Innovation Economy Pavilion)에서 12개 연구기관 및 산업 파트너와 함께 스마트 제조, 탄소중립 지속가능성, 헬스케어 분야를 아우르는 65가지 혁신 기술을 선보인다. 2025 오사카 엑스포의 라이프 시어터(Life Theater)에 적용된 것과 동일한 공업기술연구원(ITRI)의 디지털 트윈 인터랙티브 퍼포밍 기술로 구동되는 높이 3미터의 '테크놀로지 워터폴(technology waterfall)'이 디스플레이와 로봇팔 간의 매끄러운 연동을 뽐내며 첫 선을 보였다. HIWIN, OKOME STUDIO 등 산업 파트너들과 공동 개발한 이 시스템은 스마트 팩토리 수준의 첨단 소프트웨어-하드웨어 통합 기능을 자랑한다. 테크놀로지 워터폴은 500개 이상의 디스플레이와 로봇팔을 동시에 제어하며 20밀리초 이내의 동기화 오차를 유지해 놀라운 정밀도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연동 능력을 보여준다. 생성형 AI, 스마트 제조, 자율주행 애플리케이션의 급속한 성장으로 AI 칩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DoIT는 AI 모델이 현지 시설 내에서 직접 운영될 수 있도록 ITRI의 대규모 AI 모델 엣지 컴퓨팅 소프트웨어-하드웨어 통합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이 혁신 기술은 외부 서버에 의존하지 않고도 고속 추론 능력과 낮은 지연 시간을 구현한다. 또한 계산 성능을 향상시키고 대역폭 소비를 줄이며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보안을 강화한다. 대만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강점 중 하나인 섬유 부문에서도 TIE는 제조업체가 국제 요가 의류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는 새로운 중고 의류 재활용 모델에 집중하고 있다. 재활용 효율 증대를 위해 대만 섬유개발연구원(TTRI)은 DoIT의 지원을 받아 혼방 섬유용 다중 스펙트럼 이미징 AI 인식 기술을 개발했다. 근적외선 분광법, 생체모방 광학 모듈 및 AI 다중 소재 식별 알고리즘을 통합한 이 시스템은 인식률이 95%에 달한다. 이 기술은 단 0.5~1초 만에 의류 한 벌을 분석할 수 있어 수동 작업보다 2배 이상 빠르며, 면, 폴리에스터, 나일론, 엘라스테인 등 다양한 소재와 구성 비율을 정확히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시간당 350~900kg의 폐섬유를 처리할 수 있어 후처리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개발된 ITRI의 바이오 기반 연질 흡습성 반발탄성 제형 기술(Bio-based Soft Moisture-Absorbing Rebound Formulation Technology)은 이타콘산을 사용해 연질, 흡습성 및 반발탄성의 특성을 단일 제형에 결합한 통합 바이오 기반 기능성 첨가제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로 반복적인 테스트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 기술은 탄소배출량이 기존 폴리에스터 소재보다 약 40% 낮아 연간 약 3만2천톤의 탄소를 감축할 수 있다. 이 신소재의 흡습 속도는 시판 제품보다 2.5배 빠르며, 마찰 계수, 연질성, 드레이프성 모두 경쟁 소재를 능가한다. 이 혁신 기술을 국제 요가 의류 시장에 선보이기 위해 에클라트 텍스타일(Eclat Textile), 지아호 산업(Jia Ho Industrial) 등과 이미 협업을 진행 중이다. 의료 분야에서는 금속공업기술연구원(MIRDC)이 더 넓은 뇌 자극 범위와 쉬운 조작을 제공하는 새로운 우울증 치료 장비를 선보였다. 다중채널 경두개 자기자극(rTMS) 시스템 기술은 혁신적인 코일 설계와 조정 가능한 펄스 메인 유닛을 통해 단일 코일로 여러 뇌 영역을 동시에 자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영이 간소화되고 효율성이 향상되어 치료 시간이 최대 70%까지 단축된다. 포모사중공업(Formosa Heavy Industries)과의 기술 이전 및 검증이 완료되었으며, 현재 가오슝 창궁 기념병원(Kaohsiung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및 가오슝 재향군인 병원(Kaohsiung Veterans General Hospital)에서 임상 시험을 하고 있다. 이 기술은 향후 환자 치료를 지원하고 대만의 의료 자립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궈차오충(Chao-Chung Kuo) DoIT 국장은 대만 경제부가 매년 수백억달러를 기술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만 최대의 과학연구 전시 플랫폼인 대만 이노테크 엑스포(TIE)는 다양한 산업을 연결하고 기술 성과를 실용적인 산업 응용으로 전환한다. AI가 이제 산업 변혁의 핵심 동력이 된 가운데, DoIT는 AI 도입을 가속화하기 위해 AI 응용 도약 프로그램(AI Application Leap Program)을 시작했다. 시스템 통합업체 및 연구기관과 협력을 통해 주요 산업 분야에 AI 도입을 가속화하고 대만의 혁신 동력을 촉진하는 것이 목표다.
마카오 2025년 10월 17일 / 마카오 세인트 레지스 바(The St. Regis Bar Macao)가 2025년 10월 16일부터 11월 15일까지 파리의 연금술사이자 고급 향수와 화장품의 명가인 겔랑(Guerlain)과의 협업으로 독점 행사를 진행한다. 마카오 세인트 레지스 바는 겔랑과의 협업으로 라르 & 라 마티에르(L'Art& La Matière) 향수 컬렉션의 후각적 예술성에서 착안해 맞춤형 다과회를 기획했다. 마카오 세인트 레지스 바 총지배인 스튜어트 웨인 더글라스(Stuart Wayne Douglas)는 "오랜 역사와 전통, 그리고 특별한 경험을 창출하는 제조술에 한결같이 헌신해 온 향수의 명가 겔랑과 인연을 맺게 되어 기쁘다. 세인트 레지스 바 다과회 행사에서 미각 예술과 후각 예술의 융합이 특별한 감각적 만남을 창출해 고객에게 진정으로 독특하고 오래도록 기억될 추억을 선사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고 전했다. 세인트 레지스 바는 이와 같은 미각적 해석을 통해 고급 향수의 미묘한 향을 맛으로 표현한 달콤 짭짜름한 별미들을 안목 있는 고객을 위해 엄선해 준비했다. 눈부시게 상쾌한 네롤리 우트르누아르(Neroli Outrenoir)부터 따듯하고 복합적인 느낌의 스피리튜즈 더블 바닐라(Spiritueuse Double Vanille)에 이르기까지 모든 요리에 겔랑을 대표하는 향기의 특징이 반영되었다. 모든 별미를 준비하는 데 정성을 다했는데, 어떤 음식을 선택하든 여러 가지 복합적인 풍미가 입안 가득 펼쳐지고, 조금씩 빠져드는 미식의 세계로 고객을 안내한다. 수석 바텐더 케빈 라이(Kevin Lai)가 일련의 칵테일을 엄선해 향수의 복합적인 특징을 정확히 재현하므로 고객은 요리와 칵테일의 완벽한 조화를 만끽할 수 있다. 더욱 몰입감 넘치는 경험을 선사하고자 10월 18일, 11월 1일, 11월 15일에 독점적인 조향 마스터클래스(Fragrance Masterclass)가 잇따라 진행된다. 겔랑의 향수 장인이 진행하는 이 교육 행사에서는 전설적인 샬리마(Shalimar) 향수 탄생 100주년 기념행사 외에, 다과회에 준비된 메뉴를 맛보면서 그 요리의 모티브가 된 향수도 함께 시향하는 시간을 갖는다. 조향 마스터클래스는 반드시 예약해야만 참석할 수 있다. 겔랑은 1828년 이래로 경이로운 감각을 부단히 탐구하고 자연에 근원을 둔 예술적 아름다움을 창조해 온 파리의 연금술사이다. 고급 향수와 화장품의 명가인 겔랑은 제품의 완성도를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렸다. 그에 힘입어 겔랑은 독보적인 위치를 고수하고 있다. 겔랑은 5대에 걸쳐 향수와 화장품 사업에 열정을 바치고, 예술과 자연에서 영감을 얻어 제품을 만드는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겔랑은 감각을 일깨우고 정신을 고양하는 독특한 미적 가치관을 길잡이로 삼아 문화를 탐구한다. 세상에서 가장 귀중한 보물을 끝없이 찾아 끊임없이 탐구하면서 켜켜이 쌓은 비결을 대대로 전수한다. 미의 대명사인 겔랑은 자연을 예술로 승화시키고, 벌을 파수꾼으로 삼아 그 경이로움을 다음 세대에 전하고자 헌신하고 행동한다. 겔랑은 가치관이 같은 고객 및 파트너와 함께 더 아름답고 책임감 있는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는 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마카오 세인트 레지스는 코타이 스트립에서 가장 명성 높은 호텔이다. 이 호텔은 400개의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객실을 갖추고 있다. 더 매너(The Manor)에서는 부주방장 미켈레 델 아킬라(Michele Dell' Aquila)가 선보이는 고급 지중해 요리(엄선된 해산물, 특선 그릴 요리, 수제 칵테일)를 즐길 수 있다. 그리고 편안한 휴식 공간인 세인트 레지스 바에서는 마카오 세인트 레지스의 독점 레시피인 '마리아 두 레스테(동양의 마리아)'를 비롯한 모든 세인트 레지스 블러디 메리 월드 컬렉션(St. Regis Bloody Mary World Collection)을 맛볼 수 있다. 마카오 세인트 레지스 호텔 38층에 있는 스파는 마카오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스파로, 아름다운 코타이 스트립이 한눈에 들어오는 전망을 자랑하며, 최상의 재료, 호화로운 분위기, 완벽한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흔치 않은 휴식 공간이자 오감을 만족시키는 도피처로 손색없다. 갈라 파티, 격조 있는 기업 행사 또는 중요한 결혼식 같은 회합이나 행사에는 628제곱미터 크기의 웅장한 애스터 볼룸(Astor Ballroom)이 안성맞춤이다.
성남시(시장 신상진)는 경기도가 시행한 '독거노인·장애인 응급 안전 안심 서비스' 평가에서 98점을 받아 A등급을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평가는 경기도와 31개 시군이 각 지역의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나 노인종합복지관의 응급 안전 안심 서비스 운영체계, 응급 상황 대응, 대상자와 댁내 장비 관리 등 7개 항목을 합동 점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성남시는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야탑동)를 통해 독거노인(5594명), 장애인(269명) 등 모두 5863명의 대상자에게 응급 안전 안심 서비스를 제공해 최고 등급 평가(A∼D 4개 단계)를 받았다. 대상자 집에는 화재·낙상·의식 소실 등 위험 신호를 감지하면 119와 보호자, 성남시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응급관리요원(16명)에게 동시 연결하는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응급 안전 안심 시스템'이 설치돼 있다. 119 등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화재감지기, 응급 호출기, 활동량 감지기, 출입 감지기, 웨어러블 기기(신체 기능 측정 장비) 등 6종 기기가 한 세트로 구성돼 응급 상황 때 신속한 구급·구조를 지원한다. 시는 대상자의 전출·입 등의 이유로 총 6234세트(세트당 6종)의 응급 안전 안심 시스템을 관리하고 있는 상태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해당 시스템을 통해 대상자 집으로 출동·조치한 건수는 총 836건에 이른다. 이중 응급 상황 574건은 119가 출동해 병원에 연계 조치했고, 화재 감지 262건은 소방서가 출동해 진화했다. 성남시 관계자는 "성남시는 전국 243곳 지자체 중 가장 최다 규모의 응급 안전 안심 시스템(6234세트)을 대상자 집에 설치 지원해 해당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면서 "이번 A등급 평가는 기술 기반 돌봄 체계와 인적 대응능력을 결합한 성남시의 노력이 인정받은 결과"라고 말했다. 이어서 최근 국가정보원 화재로 응급 안전 시스템 전산망이 마비된 9월 26일부터 비상근무 체계를 가동해 돌봄 공백을 없애고 있다고 부연했다. 매일 인공지능(AI) 케어콜 가동 후 유선·방문으로 5863명 대상자 모두의 안부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이 서비스 작업은 응급 안전 시스템 전산망이 복구될 때까지 지속된다.
상하이 2025년 10월 16일 / 유명 캐릭터 프라모델 브랜드인 블로키스(Blokees)가 2025년 10월 15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되는 2025년 중국 완구 박람회(2025 China Toy Expo)에 첫선을 보였다. 블로키스는 '블로키스 모델 키츠(Blokees Model Kits)'와 '블로키스 휠즈(BLOKEES WHEELS)'라는 자사의 대표적인 두 가지 제품군과 함께 울트라맨(Ultraman), 트랜스포머(Transformers), DC, 산리오(Sanrio) 등 약 30종의 세계적으로 유명한 캐릭터를 토대로 제조한 100여 가지 제품을 전시했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프라모델 애호가의 기대에 부응하는 블로키스의 제품 생태계를 살펴볼 수 있다. 블로키스는 주력 제품군인 히어로10(HERO10)의 여러 가지 새로운 시리즈를 선보였다. 그중에서도 트랜스포머 갤럭시 9탄: 다키스트 아워(Transformers Galaxy Version 09 - Darkest Hour) 외에도, 세인트 세이야(Saint Seiya)와 가면라이더(Kamen Rider)의 새로운 시리즈가 특히 주목할 만하다. 그리고 전시된 DC 디펜더 1탄: 레전더리 배트맨 어셈블(DC Defender Version 01-Legendary Batman Assemble)은 블로키의 디펜더 시리즈 중에서 DC 캐릭터를 처음으로 상용화한 제품이다. 16세 이상의 프라모델 수집가를 겨냥해 출시된 블로키의 챔피언(Champion) 시리즈와 레전드(Legend) 시리즈가 큰 주목을 받았다. 블로키는 이번 박람회에 에반게리온(EVANGELION), 세인트 세이야, 트랜스포머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캐릭터를 토대로 제작된 프라모델 약 50종을 출품했는데, 그중 신제품이 70% 이상을 차지한다. 블로키는 여성 소비자를 겨냥해 '다두스(daadoos)' 시리즈 신제품을 꾸준히 출시하고 있다. 펀(FUN), 드림(DREAM), 메이트(MATE), 아트(ART) 시리즈 외에도, 미국 TV 애니메이션 파워퍼프걸(The Powerpuff Girls)을 상용화한 새로운 시리즈인 네스트(NEST)가 올해의 중국 완구 박람회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원더 페스티벌 2025(Wonder Festival 2025)에서 정식으로 출시되었던 새로운 제품군인 블로키스 휠즈의 더욱 다양해진 제품 구성도 만나볼 수 있다. 대중적인 캐릭터를 좋아하는 소비자를 겨냥해 출시된 C 시리즈는 울트라맨을 모티브로 한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다. 성인 프라모델 애호가를 겨냥해 출시된 E 시리즈의 경우, 영화 분노의 질주(Fast & Furious)를 모티브로 한 제품이 전시되었다. 참고로, 블로키스가 분노의 질주를 상용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한 블로키스는 2025년 중국 완구 박람회에서 수준 높은 BFC 개조품을 전시해 블로키스와 프라모델 애호가의 긴밀한 공동 창작 문화를 과시했다. 같은 시기에 블로키스는 이틀간 BFC 창작 대회(BFC Creation Contest)를 따로 진행하기도 했다. 많은 프라모델 애호가가 6가지 주제 중 본인의 취향에 맞는 주제를 선택해 대회에 열성적으로 참가했다. 블로키스는 앞으로도 계속 전 세계 프라모델 애호가를 위해 다채로운 고품질 제품을 꾸준히 출시하여 최고의 만족감과 조립의 즐거움을 선사하겠다는 각오를 다졌다.
부산 남구(구청장 오은택)는 지난 9월 29일, 해양수산부 부산 시대를 맞아 해양수산부를 방문하고, 임시 청사가 위치한 동구와 인접한 행정적 이점과 우수한 정주 환경을 갖춘 남구의 매력을 소개했다. 또한 해수부 직원과 가족의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남구형 지원책'을 발표하며 따뜻한 동행의 첫발을 내디뎠다. 이번 정착 지원책은 행정·주거·교육·문화·체육·의료 등 생활 전반에 걸친 종합 지원 방안으로, 공인중개사 남구지회와의 협약을 통해 부동산 중개 수수료를 할인을하고 해수부 직원과 가족의 조기 정착을 행정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교육 분야에서 남구는 국립부경대·경성대·동명대 등 해양·산업 특화 대학을 비롯한 풍부한 교육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으며, 초·중·고등학교도 균형 있게 분포해 있다. 특히 전국 유일의 금융자율형사립고가 2029년 개교를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지역 대학과 연계한 평생교육원 등 교육 시설 수강료 감면을 추진해 직원과 가족의 자기 계발을 지원하고, 어린이집 입소 자녀를 위한 환영 시책도 준비 중이다. 문화·체육 분야에서는 가족 친화적인 지원책이 눈에 띈다. 국민체육센터, 빙상장, 백운포체육공원 등 구 운영 체육시설의 사용료 감면, 남구 주요 명소를 탐방하는 남구 투어 프로그램 할인 등을 통해 직원과 가족의 여가 활동을 지원한다. 의료 분야에서는 지역 내 주요 의료기관과 협약을 추진해 직원과 가족의 건강 관리 부담을 줄이고, 생활 밀착형 지원 시책을 지속 발굴할 계획이다. 특히 남구는 대연·우암·문현 지역 일대를 중심으로 재개발과 재건축이 활발히 이루어지며 쾌적한 주거단지가 지속적으로 확충되고 있고, 광안·부산항대교, 도시철도, 도시고속도로 등 사통팔달 교통망으로 도심 접근성이 뛰어나다. 또한 북항을 끼고 있어 해양수산부의 주요 정책 추진과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입지를 갖추고 있다. 오은택 남구청장은 "남구는 여러분을 이웃으로 맞이할 준비가 돼 있다. 여러분의 부산 생활이 남구에서 따뜻하게 시작될 수 있도록 세심하게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남구는 해양수산부와 협력해 대한민국 해양 수도의 미래를 함께 이끌어가겠다"고 덧붙였다.
밀라노 2025년 10월 10일 / 통합 정보통신기술(ICT) 솔루션 분야의 세계 선두 기업인 ZTE(ZTE Corporation)가 10월 6일 밀라노에서 전 세계 시장 확충을 위한 두 가지 핵심 전략을 발표했다. 청소년 소비자를 겨냥한 게임용 스마트폰에 전략적으로 중점을 둔 B2C(Business to Consumer) 비즈니스 모델로의 전환과 사용자 중심의 토털 AI 생태계 보완이 다름아닌 그것이다. 요컨대, ZTE 글로벌 서밋 겸 사용자 간담회(ZTE Global Summit & User Congress)의 일환으로 '박진감을 더하고 자신만의 개성을 살리세요(Unlock Thrills, Define Style)'라는 테마로 진행된 ZTE 기기 사용자 간담회(ZTE Devices User Congress)에서 이 두 가지 핵심 전략이 공개되었다. 전 세계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데 매진해 온 ZTE는 nubia Neo 3 시리즈, nubia Air, 세계에 첫선을 보인 '감성적 동반자'이자 AI 반려동물 모치(Mochi), 차세대 FWA & MBB 솔루션 등 자사의 전략을 실체화한 여러 가지 세련된 제품을 소개했다. ZTE의 수석 부사장 겸 ZTE 모바일 기기 사업부 사장 니 페이(Ni Fei)는 "ZTE의 사명은 젊은 세대의 기대에 부응하고 그들의 정체성을 대변하는 다양한 제품을 출시함으로써 젊은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정확히 반영하는 첨단 기술 브랜드로 자리매김하는 것이다. 2025년 상반기 스마트폰 매출이 30% 이상 증가하고 nubia Neo 시리즈는 300% 이상의 놀라운 성장세를 기록했는데, 이와 같이 거듭된 ZTE의 성장은 게임에 중점을 둔 전략이 전 세계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는 방증이다"라고 강조했다. ZTE는 게임에 전략적으로 집중한 채 B2C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하는 한편, 혁신적인 게임용 스마트폰인 nubia Neo 시리즈를 전면에 내세워 젊은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있다. 그와 동시에 게임 지식재산권(IP) 제휴 계약, E-스포츠팀과의 협업, 그리고 AI 가상 동반자 데미(Demi)를 통해 게임 생태계를 확장하고 활기찬 게임 문화를 창조하는 데 동참하고 있다. nubia Neo 3 시리즈는 가레나 프리 파이어(Garena Free Fire)의 공식적인 공동 브랜드 게임용 스마트폰으로 지정되었다. 사랑받는 캐릭터인 켈리(Kelly), 하야토(Hayato), 모코(Moco)를 활용해 출시한 이전 에디션이 성공하자, 또 다른 인기 캐릭터인 카펠라(Kapella)를 테마로 한 nubia Neo 3 GT 5G 한정판도 출시할 예정이다. 게임과의 긴밀한 통합과 우수한 성능을 통해 nubia Neo 3 GT 5G 특별판에 카펠라의 매력적인 개성을 녹여냈다고 전해진다. 또한 ZTE는 일종의 지능형 내비게이터 역할을 통해 게임 진행 방법을 알려주는 혁신적인 AI 가상 동반자 데미와 게임 중에 소통하는 데 유용한 독특한 데미 마우스피스 기능(Demi Mouthpiece)도 선보인다. 눈길을 사로잡는 화이트 헤일스톤(White Hailstone) 색상에서는 사이버 전사의 이미지가 연상된다. nubia Neo 3 시리즈는 듀얼 게이밍 숄더 트리거(Dual Gaming Shoulder Trigger), AI 게임 스페이스 3.0(AI Game Space 3.0), 120Hz 디스플레이, 바이패스 충전(Bypass Charging) 기능을 지원하는 대용량 배터리, Z축 리니어 모터, 그리고 다층 냉각 시스템을 탑재하여 전문가급 게임 성능을 발휘한다. nubia Neo 3 GT 5G 한정판은 249달러의 시작가로 2025년 10월 동남아시아에 가장 먼저 출시되었다. ZTE는 게임용 스마트폰을 성장 전략의 구심점으로 삼고 다양한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적합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ZTE의 이와 같은 의지가 완벽하게 실체화된 제품이 바로 nubia Air이다. nubia Air는 대용량 배터리, 4500니트의 휘도를 지원하는 대형 디스플레이, 최고 수준의 방진 및 방수 성능(IP69K, IP69, IP68), 그리고 편리한 AI 솔루션을 극도로 얇은 본체에 모조리 담아내 '에어(Air) 스타일' 시장 부문의 한계를 극복했다. 요컨대, nubia Air는 동급 가격대의 스마트폰이 추구해야 할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nubia Air는 9월부터 전 세계에서 279달러의 시작가에 시판되고 있다. ZTE는 사용자와 스마트폰 간의 완벽한 상호작용을 위해 클라우드 서버에 의존하지 않는 AI 애플리케이션을 보완하고 있다. 기술 중심의 혁신을 뛰어넘는 ZTE의 중대한 행보로 평가할 만한 소식도 있다. AI 반려동물 모치가 성장 중인 '감성 AI(emotional-AI)' 가전 시장에 진출한다는 것이다. 이는 '만인을 위한 AI' 전략에 대한 ZTE의 확고한 의지를 엿볼 수 있는 증거이자, 사람, 자동차, 집을 연결하는 토털 AI 생태계의 핵심적인 실천 사례라 할 수 있다. 모치는 더욱 스마트하고 능동적인 만인의 맞춤형 '감성적 동반자' 역할을 하도록 설계되었다. 친근하고 귀여운 모습의 모치는 사용자와 이뤄지는 교감, 소통, 반응을 부드러운 움직임, 소리, 그리고 진동으로 표현한다. 모치의 솜털처럼 부드러운 촉감과 감정이 풍부한 눈에서는 생동감 넘치는 개성이 느껴진다. 동반자 관계는 단순할수록 좋다는 사실을 절감할 수 있는 더없이 좋은 예시가 바로 모치이다. ZTE의 지능형 생태계는 ZTE가 연결성에서 쌓은 굳건한 입지를 기반으로 삼아 구축되었다. 5G FWA 및 MBB 시장 점유율에서 4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한 ZTE는 세계 최초의 AI 지원 방식 5G-A 플래그십 CPE인 ZTE G5 Ultra, 세계 최초의 30dBi Wi-Fi 7 mmWave CPE인 ZTE G5 Max Wi-Fi,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빠른 Wi-Fi 7 5G 모바일 WiFi인 ZTE U60 Pro를 중심으로 한 5G-A 및 Wi-Fi 7 혁신을 통해 한결같이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더 촘촘히 연결된 지능적인 세상을 만들어가는 데 ZTE의 역할이 더 중요해진 셈이다.
뉴욕 2025년 10월 9일 / 유명한 럭셔리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인 노부 호스피탈리티(Nobu Hospitality)는 이스트 뱅크(East Bank) 지구에서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컴버랜드(Cumberland) 강변에 노부 호텔 및 레스토랑 내슈빌(Nobu Hotel and Restaurant Nashville)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 호텔은 오라클(Oracle) 캠퍼스 개발 사업의 하나로 내슈빌에서 가장 역동적이고 점차 발전하고 있는 지역 내에 위치하여 인지도를 더욱 높일 것이다.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건축 회사인 포스터 + 파트너스(Foster + Partners)와 협업을 통해서 세심하게 설계된 120개의 객실과 스위트룸이 호텔에 들어설 예정이며, 특히 현대적인 세련미와 노부의 시그니처인 일본 특유의 미학이 자연스럽게 결합된 디자인이 돋보인다. 고객은 로비에 위치한 노부 레스토랑에서 노부 셰프의 대표 음식들을 즐길 수 있으며, 그 밖에 다목적 회의실과 이벤트 공간을 이용하여 친목 모임이나 대규모 행사를 여는 것도 가능하다. 세련된 로비 카페는 일상적인 모임이나 가벼운 식사를 하기에 더없이 좋은 공간을 제공하고, 최고급 피트니스 센터 및 스파는 건강과 휴식을 함께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호텔 최상층에는 내슈빌의 스카이 라인과 주변 전경이 파노라마처럼 한 눈에 들어올 수 있도록 아름다운 인피니티 루프톱 수영장이 들어설 예정이며, 여기에 엄선된 음식과 음료까지 제공하여 최고의 루프톱 휴식처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노부 호스피탈리티 CEO 트레버 호웰(Trevor Horwell)은 "내슈빌에서 활기차고 발전 가능성이 높은 이스트 뱅크 지구에 노부 라이프스타일을 실현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열렬한 노부 고객의 바람과 요청이 쇄도하던 중에 오라클과 손을 잡아 완벽한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내슈빌의 다채로운 문화와 음식은 노부 라이프스타일을 실현하는 데 이상적이기 때문에 앞으로 도시의 매력과 노부의 특별한 경험을 구현할 것을 생각하니 기대가 매우 크다"라고 덧붙였다. 노부 호텔 내슈빌은 도시의 중심부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이스트 뱅크의 수변 지구에서 또 하나의 랜드마크로 떠오를 것이다. 도시 중심부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여 불야성을 이루는 브로드웨이(Broadway) 밤거리, 컨트리 뮤직 명예의 전당(Country Music Hall of Fame), 리만 오디토리움(Ryman Auditorium), 테네시 타이탄스(Tennessee Titans)의 홈구장인 닛산 스타디움(Nissan Stadium), 누구나 좋아하는 먹거리 등 도시를 대표하는 곳까지 몇 분이면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롭 리포트(Robb Report)에서 가장 혁신적인 럭셔리 브랜드 중 하나로 선정된 노부 호스피탈리티는 노부 마츠히사(Nobu Matsuhisa), 로버트 드니로(Robert De Niro), 메이어 테퍼(Meir Teper)가 공동 설립한 글로벌 럭셔리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이다. 서비스, 이미지, 평판을 토대로 견고하게 자리잡은 이 브랜드는 5개 대륙에서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통해 호텔부터 레스토랑, 레지던스 관리에 이르기까지 완전한 라이프스타일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